1894년에 이제마(李濟馬)가 쓴 ≪동의수세보원 東醫壽世保元≫에서 처음 쓰였다. 태음인의 간대폐소(肝大肺小)한 장국(臟局)은 금(金)과 목(木)이 상극이므로 조열(燥熱)이 성해져 중완(中脘)에서는 열이 울체(鬱滯)되고, 열이 울하게 되면 양이 상승하고 음이 하강하는 작용(陽升陰降作用)이 균형을 잃게 되므로, 수기(水氣)가 폐로 상승하게 되어 방광으로 내려가지 못하고 기육(肌肉:근육)의 사이에 울체되는데 이것이 태음인의 열성부종(熱性浮腫)의 원인이 된다.
이러한 태음인의 열성부종에 쓰는 처방이 갈근부평탕이다. 이에 반하여 태음인 한성부종(寒性浮腫)은 위완(胃脘)이 한(寒)하기 때문에 비위(脾胃)의 기화작용(氣化作用)이 폐에까지 올라가지 못하여 소변이 나오지 않을 뿐만 아니라, 비위의 무력 때문에 수분이 사지의 기육의 사이로 흘러들어가 부종이 생기게 되는데, 이와 같은 경우에는 건율제조탕(乾栗蠐螬湯)을 쓴다.
갈근부평탕의 처방구성은 갈근 11.25g, 나복자(蘿蔔子)·황금(黃芩) 각 7.5g, 부평(浮萍)·대황(大黃) 각 3.75g, 제조(蠐螬) 10개로 되어 있다. 군약(君藥)인 갈근은 비(脾)와 위 그리고 대장의 열을 승발(升發)시키며 갈증을 엎애고 진액이 생기도록 함으로써 양명금(陽明金)을 활발하게 하고, 황금을 써서 비·폐와 상초(上焦)·중초(中焦)의 풍열을 내림으로써 폐의 활동이 정상화되어 태음·양명(陽明), 두 경(經)의 작용이 정상화된다.
또, 나복자를 써서 위기(胃氣)를 승발시키고, 아울러 부평을 사용하여 폐경(肺經)의 열을 발산시키고, 제조를 써서 통합작용을 하도록 하여 만전을 기한 것이다. 따라서, 간대폐소(肝大肺小)한 특성으로 인하여 수분대사과정에 생긴 이상으로 유발된 부종을 치료하게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