감대청절목 ()

목차
감대청절목
감대청절목
근대사
문헌
1865년 이학주가 왕명으로 기록한 감대청의 규식을 적은 법제서.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1865년 이학주가 왕명으로 기록한 감대청의 규식을 적은 법제서.
내용

1권 1책. 원사본. 내용은 신차(新差) 규제건으로 8장사(八壯士) 자손 외에 선전관(宣傳官)을 거치지 않은 자를 본청의 행수(行首)로 임명하지 말 것과, 물품 청구권으로 점심이나 세찬(歲饌)에 쓸 쌀을 청구할 때 일정한 규정에 따라야 한다는 것이다. 감대청의 소임은 왕의 시위(侍衛)나 궁중의 호위이며, 별군직청(別軍職廳)이라고도 하였다.

8장사란 박배원(朴培元)·장애성(張愛聲)·김지웅(金志雄)·신진익(申晉翼)·오효성(吳孝誠)·장사민(張士敏)·박기성(朴起星)·조양(趙壤) 등으로 봉림대군(鳳林大君)이 심양(瀋陽)에 볼모로 갔을 때, 시위를 맡았던 역사(力士)들이다.

봉림대군이 왕이 되자 이들에게 궁중의 시위를 담당하게 하고, 이들 자손들에게는 음직(蔭職)인 행수별군직을 맡게 하였다. 그러나 순조·철종연간에는 이러한 관계가 잘 이행되지 않았다. 이것이 바로 『감대청절목』을 저술하게 한 직접적인 원인이었다.

이와 같은 제명의 책이 두 종류가 있으나, 모두 별군직청의 경비를 줄이기 위한 것으로 그 내용은 대동소이하다. 그리고 감대청의 모든 사례를 적은 『감대청고사(感戴廳故事)』, 감대청의 특별한 일을 기록한 『감대청일기(感戴廳日記)』 등이 있다. 규장각도서에 있다.

집필자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