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복성 ()

조선시대사
인물
조선 후기에, 평산부사, 전주부윤, 청송부사 등을 역임한 문신.
이칭
명지(明之)
죽간(竹磵)
인물/전통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1550년(명종 5)
사망 연도
1634년(인조 12)
본관
신천(信川)
주요 저서
죽간집(竹磵集)
주요 관직
평산부사|전주부윤|청송부사
관련 사건
정유재란|인조반정|이괄의 난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정의
조선 후기에, 평산부사, 전주부윤, 청송부사 등을 역임한 문신.
개설

본관은 신천(信川). 자는 명지(明之), 호는 죽간(竹磵). 강중진(康仲珍)의 증손으로, 아버지는 강유선(康惟善)이다.

생애 및 활동사항

1579년(선조 12) 사마시에 합격한 뒤, 참봉 · 직장(直長) · 찰방(察訪) 등을 역임하였다.

1595년 유성룡(柳成龍)의 천거로 장현광(張顯光) 등과 함께 발탁되어 장수현감이 되었으며, 곧 김제군수로 옮겼는데, 이때는 정유재란 때 명나라 군사와 합세하여 남원에 주둔한 왜적을 쳐서 전공을 세우기도 하였다. 그 뒤 1599년(선조 32) 고양군수를 거쳐 천안군수를 역임하였다.

광해군이 즉위하자, 잠저(潛邸: 왕위에 오르기 전인 왕자로 지낼 시기) 때에 시강(侍講)한 인연이 있다 하여 가자(加資)되었으며, 동부승지 · 우부승지를 거쳐 평산부사 · 전주부윤 · 청송부사 등의 외직에 보임된 뒤 1617년(광해군 9) 도총부부총관(都摠府副摠管)을 제수받았다.

이때 광해군이 인목대비를 서궁(西宮)에 유폐시키는 등의 난정을 행하자, 병을 핑계로 사직하였다. 인조반정 뒤 다시 부평군수를 제수받았으며, 곧 성주목사로 옮겼다. 이괄(李适)의 난이 일어나자, 즉시 군대를 모아 인조를 호위하였다.

그 공으로 자헌대부(資憲大夫)로 승진되었고, 곧 정헌대부(正憲大夫)로 승진되어 지중추부사를 제수받았다. 그러나 노쇠하여 향리인 선산으로 귀향하여 살다가 일생을 마쳤다.

그는 일찍이 재행(才行)을 겸비하고 학술이 정심(精深: 정밀하면서 깊음)한 것으로 천거되었으며, 목민관으로 선정을 베풀었다 하여 표창받은 바도 있었다.

저서로는 『죽간집(竹磵集)』이 있다.

참고문헌

『선조실록(宣祖實錄)』
『광해군일기(光海君日記)』
『인조실록(仁祖實錄)』
『국조인물고(國朝人物考)』
『대동야승(大東野乘)』
『죽간집(竹磵集)』
『사서집(沙西集)』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