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사포 ()

목차
관련 정보
의생활
물품
임금이 입는 붉은 색의 조복(朝服).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임금이 입는 붉은 색의 조복(朝服).
내용

‘수배신조현지복(受陪臣朝見之服)’이라 하여 삭망(朔望)·조강(朝降)·조강(詔降)·진표(進表)·조현(朝見) 등에 착용하였다. 포(袍)·상(裳)·중단(中單)·폐슬(蔽膝)·대대(大帶)·혁대(革帶)·패옥(佩玉)·수(綬)·말(襪)·석(舃)으로 일습이 구성되며, 좁은 의미로는 강색(絳色)의 포만을 말하기도 한다.

또한 머리에 원유관(遠遊冠)을 쓰므로 ‘원유관포’ 또는 ‘원유관복’이라고도 하였으며, 거기에 규(圭)를 들었다.

우리 나라에서는 1370년(공민왕 19)에 명나라 태조가 보내옴으로써 처음으로 착용하기 시작하였다. 그것을 ≪고려사≫ 여복지(輿服志)에서는 강사포·홍상(紅裳)·흑령(黑領)에 청연수(靑緣袖)를 한 백초중단(白綃中單)·백군유(白裙襦)·강사폐슬·백가대(白假帶)·방심곡령(方心曲領)·금구첩(金鉤䚢)이 달린 홍혁대(紅革帶)·백말(白襪)·흑석(黑舃)으로 일습을 이룬다고 되어 있다.

그것이 조선시대에도 그대로 습용되어 오다가 여러 차례의 개조 끝에 의심스러운 부분이 많다 하여 1438년(세종 20)에 새로이 원유관포를 명나라에 청하여 그해 10월 사신 홍여방(洪汝方)이 가지고 돌아왔는데, 거기에는 방심곡령이 들어 있지 않았다.

그에 대한 설명을 ≪국조오례의서례≫ 가례의 관복도설(冠服圖說)에 의하면, ① 포 : 강색의 나(羅)로 지었으며 강색 깃에 도련과 소매끝에 강색 선(襈)을 둘렀다. ② 상 : 강색의 나로 지었으며, 앞 세 폭, 뒤 네 폭의 일곱 폭으로서 면복(冕服)의 상과는 달리 장문(章紋)이 없었다.

폭마다 양쪽 끝의 한치를 꿰매어 마물렀는데 그것을 삭폭(削幅)이라 하였고, 허리부분에는 많은 주름, 즉 벽적(襞積)이 있었다. ③ 중단 : 백색의 나로 지었으며, 적색 깃에는 불문(黻紋)을 양쪽에 각 다섯 개와 뒤에 한 개 합하여 열한 개를 그렸고, 도련과 소매 끝에는 적색 선을 둘렀다.

④ 폐슬 : 강색의 나로 지었으며, 위아래에 강색 선이 있어 위를 비(紕), 아래를 준(純)이라 하였으며, 그 선 안 갓에 오색으로 된 실띠, 즉 순(紃)을 둘렀다. 윗부분에 옥구(玉鉤)가 두 개 달려 있어 혁대에 걸게 되어 있었다.

⑤ 대대 : 백색의 나를 겉으로, 비색(緋色)의 나는 안으로 하여 합봉한 것으로, 위는 주색(朱色), 아래는 녹색으로 연(緣)을 둘렀고, 청조(靑組)로써 맺고 늘어뜨려 신(紳)과 가지런하게 하였다.

⑥ 혁대 : 관복도설에는 그 기록이 보이지 않으나, 폐슬·패옥·수 등을 걸어 드리우기 위해서는 반드시 필요하였을 것이므로 곤룡포의 옥대(玉帶)를 대용하였을 것이다.

⑦ 패옥 : 좌우 양쪽에 차게 되어 있는 것으로, 하나의 패옥은 금구·형(衡)·거(琚)·우(瑀)·쌍황(雙璜)·충아(衝牙)·쌍적(雙滴)으로 구성되며, 모두 민옥(珉玉)으로 하였다. 다섯줄의 계조(繫組)에는 약옥주(藥玉珠)를 꿰었으며, 소수(小綬)로써 패옥받침을 삼았다.

⑧ 수 : 후수(後綬)라고도 하며, 홍화금(紅花錦)으로 만들었으며, 두 개의 금환(金環)을 간시(間施)하였고 밑에는 망사(網絲)를 드리웠다.

⑨ 말 : 비색의 단(緞)으로 겉을 하고, 비색 초(綃)로 안을 하였다. ⑩ 석 : 비색 단으로 겉을 하고, 비색 증(繒)으로 안을 하였다. 기록에 있는 강사포제도는 시대가 경과함에 따라 국속화되어, 한말의 고종어진(高宗御眞)을 보면 깃에는 흰 동정을 달고 옷고름이 달려 있음을 볼 수 있다.

1891년 8월 대한제국을 선포하고 고종이 황제에 오르면서 새로이 관복제도를 정했을 때, 원유관 대신 통천관(通天冠)을 착용하고 중단의 불문이 열한 개에서 열세 개로 금직(金織)하는 등 중국황제와 같은 강사포를 착용하였다. 그러한 강사포는 1900년 관복을 구미식으로 바꾼 이후에도 별변동 없이 착용되어 순종 때까지 계속되었다.

참고문헌

『국조오례의서례(國朝五禮儀序例)』
『세종실록』
『고종실록』
『한국복식사연구』(류희경, 이화여자대학교출판부, 1980)
관련 미디어 (1)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