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고시대에는 두루마기는 물론 저고리도 둔부(臀部)까지 내려오는 긴 것으로 모두 띠로 옷을 여미었기 때문에 고름은 없었다.
그러나 고려시대 후기에 와서 저고리 길이가 점점 짧아지면서 고름이 등장된 것으로 보인다. 이 것이 두루마기에도 적용되어 고름과 함께 조대(绦帶)를 매다가 점점 고름 하나로 여미게 되었던 것이다.
고름은 처음에는 그 실용성만을 고려하여 좁고 짧았으나, 조선 후기에 들어와 여자의 저고리 길이가 아주 짧아지기 시작하면서, 고름은 다소 넓고 길어져 우리 옷의 특징인 상박하후한 모습에 조화를 살리고, 그 곡선미를 더욱 두드러진 것으로 만들고 있다.
숙종 때를 전후해서는 관복(官服, 團領)에도 고름이 생겼다. 이 때 겉감색의 긴 고름 밑에 안감색으로 같은 크기의 고름을 달아 이중으로 만들고, 짧은 고름은 겉감으로 만들어서 딱딱한 관복에 아름다운 색의 조화를 이루게 하였다.
고름을 매는 법은 겉깃쪽 길에 달려 있는 긴 고름과 안깃쪽 길에 달려 있는 짧은 고름을 초벌 매듭으로 묶어 짧은 고름을 긴 고름 위에 오도록 한다. 밑에 있는 긴 고름으로 고름의 고를 만들고 짧은 고름으로 한번 감아서 고의 뒤쪽으로 빼내어 당기면서 모양을 만든다.
여성 옷의 고름은 남편을 상징하기도 하여 혼자 사는 여자는 옷색과 같은 색의 고름을 매었고, 남편이 있는 여자는 옷과 다른 색의 고름을 매었는데, 어린 사람은 다홍, 젊은 사람은 꽃자주, 나이든 사람은 검자주색을 사용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