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름

목차
관련 정보
고름 매는 모습
고름 매는 모습
의생활
개념
저고리나 두루마기의 앞길을 여며 고정시키기 위하여 가슴 근처에서 맺는 약간 폭이 있는 두 개의 끈.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저고리나 두루마기의 앞길을 여며 고정시키기 위하여 가슴 근처에서 맺는 약간 폭이 있는 두 개의 끈.
내용

상고시대에는 두루마기는 물론 저고리도 둔부(臀部)까지 내려오는 긴 것으로 모두 띠로 옷을 여미었기 때문에 고름은 없었다.

그러나 고려시대 후기에 와서 저고리 길이가 점점 짧아지면서 고름이 등장된 것으로 보인다. 이 것이 두루마기에도 적용되어 고름과 함께 조대(绦帶)를 매다가 점점 고름 하나로 여미게 되었던 것이다.

고름은 처음에는 그 실용성만을 고려하여 좁고 짧았으나, 조선 후기에 들어와 여자의 저고리 길이가 아주 짧아지기 시작하면서, 고름은 다소 넓고 길어져 우리 옷의 특징인 상박하후한 모습에 조화를 살리고, 그 곡선미를 더욱 두드러진 것으로 만들고 있다.

숙종 때를 전후해서는 관복(官服, 團領)에도 고름이 생겼다. 이 때 겉감색의 긴 고름 밑에 안감색으로 같은 크기의 고름을 달아 이중으로 만들고, 짧은 고름은 겉감으로 만들어서 딱딱한 관복에 아름다운 색의 조화를 이루게 하였다.

고름을 매는 법은 겉깃쪽 길에 달려 있는 긴 고름과 안깃쪽 길에 달려 있는 짧은 고름을 초벌 매듭으로 묶어 짧은 고름을 긴 고름 위에 오도록 한다. 밑에 있는 긴 고름으로 고름의 고를 만들고 짧은 고름으로 한번 감아서 고의 뒤쪽으로 빼내어 당기면서 모양을 만든다.

여성 옷의 고름은 남편을 상징하기도 하여 혼자 사는 여자는 옷색과 같은 색의 고름을 매었고, 남편이 있는 여자는 옷과 다른 색의 고름을 매었는데, 어린 사람은 다홍, 젊은 사람은 꽃자주, 나이든 사람은 검자주색을 사용하였다.

참고문헌

『한국복식사연구』(유희경, 이화여자대학교출판부, 1980)
관련 미디어 (5)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