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원도 금강산 조리장수 ( 장수)

목차
구비문학
작품
영남 지방의 서사민요.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영남 지방의 서사민요.
내용

주로 부녀자들이 길쌈을 하면서 부르는데, 웃음을 자아내는 희극적 내용을 지닌 것이 특징이다.

과부인 어머니가 방이 춥다고 불평을 하자, 아들은 효자라 방을 더 덥게 하느라고 애썼는데 소용이 없었다. 강원도금강산의 조리장수가 와서 어머니와 한방에서 자게 하였더니, 그제서야 춥지 않더라고 하였다. 그 뒤부터 어머니는 떠나고 없는 조리장수를 잊지 못해 하였다.

아들이 짐짓 조리장수가 죽었다는 소식을 전하니, 어머니는 옷을 한 벌 지어 불에 태워 저승으로 보내주었다. 이러한 줄거리를 노래로 부르며 조리장수를 잊지 못하여 애태우는 어머니의 거동을 핍진하게 흉내낸다. 아들이 효자라고 칭찬하면서, 과부의 딱한 사정을 묘사하기도 한다.

겉으로는 대수롭지 않은 일이 일어난 듯이 넘어가는 가운데 과부의 성적 결핍 해소가 절실한 욕망임을 은근히 나타내고 있는 데에 묘미가 있다.

순진한 것 같으면서 능청스러운 거동으로 노래하므로 희극적 효과가 더욱 커진다. 부녀자들의 욕구가 윤리적 규범에 의하여 억압된 상황에서 벗어나는 것을 상상해보게 한다. 또한 효도가 무엇인가 다시 규정하게 하는 민요이기도 하다. 「영해 영덕 소금장수」와 거의 같은 유형이다.

참고문헌

『서사민요연구』(조동일, 계명대학출판부, 1970)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