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공고사 ()

목차
주생활
의례·행사
집 짓는 일이 시작된다는 것을 알리는 고사.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집 짓는 일이 시작된다는 것을 알리는 고사.
내용

오늘날의 기공식과 같은 것이다. 텃고사는 사람에 따라 생략하기도 하지만 이 고사는 반드시 지내고, 또 오늘날 현대식 건물이나 국가적인 큰 공사를 벌일 때에도 행한다.

『산림경제』에는 “역사를 시작하는 날 제사가 끝나면 주인은 목수들에게 들보 아래(뿌리부분)에 톱을 늘어놓게 하고 가신(家神)에게 제례를 올린다.

이 뒤에 개공대길이라고 쓴 붉은 종이를 들보머리에 붙이며, 따로 황색 종이에 ‘姜太公在此(강태공재차)’라는 글귀를 붉은 글씨로 써서 처음 손질할 나무에 붙이는데, 이 부적은 집을 다 지을 때까지 더럽히지 않는다.”라고 기록되어 있다.

만약 미리 받아둔 날 개공고사를 지낼 수 없을 때에는, 둥근 나무 두개의 끝을 묶어 마주 세우고, 이 위에 긴 나무를 가로 걸치는 것으로 고사에 대신한다.

또, 이렇게 하지 않을 때는 허공에 “아무곳 아무개가 아무시에 개공하였소.”라고 세 번 소리친다. 이와같이 개공고사를 지내는 것은 고사를 통해서 목수들은 물론, 집주인도 마음을 새롭게 다진다는 뜻이 있다.

참고문헌

『한국주거민속지』(김지, 민음사, 1988)
『한국고건축단장』 하(신영훈, 동산문화사, 1977)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