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상

목차
관련 정보
개상
개상
산업
물품
곡식의 낟알을 떨어내는 탈곡기구.
이칭
이칭
가상, 개샹, 챗상, 태상, 공상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곡식의 낟알을 떨어내는 탈곡기구.
내용

『해동농서(海東農書)』에는 ‘가상[稻床]’, 「농가월령가(農家月令歌)」에는 ‘개샹’이라고 적혀 있다. 지역에 따라 ‘챗상(충청북도 제천시 봉양읍)’·‘태상(강원도 강릉)’ 또는 ‘공상’이라고도 하였다.

여러 가지 형태의 것이 있는데, 서까래와 같은 통나무 서너개를 새끼줄로 나란히 엮은 뒤 네 귀퉁이에 높이 50∼70㎝의 다리를 붙인 것이 가장 흔하다. 충청북도 제천시 봉양읍에서는 가위다리처럼 벌어진 나무 앞쪽에 다리를 붙여서 땅과 45°쯤 되게 세워놓은 틀 위에 적당한 크기의 넓적한 돌을 얹어놓은 것을 쓴다.

농사가 많은 집에서는 안마당의 귀퉁이에 앞은 높고 뒤가 낮아지도록 적당히 깎은 돌을 붙박이로 설비하여 두고 이용하기도 한다. 강원도에서는 크고 둥근 자연석을 그대로 사용하였다. 그것을 ‘탯돌’이라고 한다. 일반농가에서 개상을 따로 준비하는 일은 드물었으며, 한쪽이 평평한 굵은 통나무를 그대로 엎어놓거나 절구를 가로뉘어 쓰기도 하였다.

자리개로 단단히 묶은 볏단이나 보릿단을 어깨 위로 돌려서 머리 위로 높이 쳐들었다가 힘껏 내리쳐서 곡식의 알갱이를 떨어낸다. 남자 한 사람이 하루에 벼나 보리 한가마 반 내지 두 가마를 떨 수 있다.

참고문헌

『한국농기구고』(김광언, 한국농촌경제연구원, 1986)
『한국의 농기구』(김광언, 문화재관리국, 1969)
관련 미디어 (1)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