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의 ()

의생활
물품
조선시대, 왕비와 왕세자빈이 궁궐로 들어갈 때 적의 위에 덧 입던 옷.
이칭
이칭
경(景)
내용 요약

경의는 조선시대 왕비나 왕세자빈이 궁궐로 들어갈 때 적의 위에 덧 입던 옷이다. 경의는 『국조오례의』에는 '경(景)'으로 표기되어 있으며, 『단종실록』에는 대개 '명의(明衣)'와 같은 것이라고 하였으며, 『송자대전』에는 양삼(涼衫)이 옛날의 경의와 같다고 하였다. 『의례경전통해』에도 '경은 밝다는 뜻으로 경의 제도는 대개 명의와 같으며, 덧입힌다는 것은 길을 가는 도중에 먼지를 막아서 의복을 선명하게 하기 위한 것'이라고 함으로써 예복을 가리기 위한 옷임을 알 수 있다. 경의는 남사(藍紗), 남화문사, 남광사 12척으로 제작한다.

키워드
정의
조선시대, 왕비와 왕세자빈이 궁궐로 들어갈 때 적의 위에 덧 입던 옷.
연원

송나라 때 편찬된 『사물기원』에 의하면, "요즘 서울의 사인들이 조복(朝服)을 입고 말을 탈 때 참사(黪紗)를 덮었는데, 이를 양삼(涼衫)이라고 한다."고 하면서 옛날의 주7이라고 주1. 이후 『송자대전』에도 경의는 양삼과 같은 것이라고 하며, 옛 사람들이 출입할 때 주8을 입은 다음 홑 포로 된 옷을 만들어 정복 위에 있었으며, 먼지를 막는다고 하여 양삼이 경의에 기원을 두고 있다고 주2. 한편 양삼은 『상변통고』에 천거받지 않는 자는 조삼(皂衫)도 괜찮지만 역시 양삼이 합당하다고 하면서 조삼보다는 양삼이 입기에 간편하고 비용도 저렴하기 때문이라고 하여, 양삼이 가볍고 저렴하여 입기 편하게 착용할 수 있는 옷이었음을 알 수 있다. 여기에 조선 왕실에서는 주9주10이 궁궐로 들어갈 때, 겉에 입은 예복 위에 덧입음으로써 먼지를 막아 옷을 밝고 선명하게 하는 용도로 주3.

형태와 제작 방식

경의는 양삼에서 출발한 것으로 남송시대 사대부의 백색 주15이었으나 희고 깨끗하여 주11으로 착용하였다. 그러나 조선시대 왕비나 왕세자빈이 착용한 경의는 남사나 남화문사가 12척이 들어가는 것으로 주12으로 만들어 예복 위에 덧입는 양식이다. 송나라 때 삼은 장의의 일종으로 교임에 주13이 풍성하고 품이 넓으며, 길이는 무릎이나 발목까지 내려오는 형식이다.

관련 풍속

조선 왕실에서 거행한 가례의 절차 중 신하를 보내 왕비를 맞이하는 의식이 끝나고 나면, 왕비와 왕세자빈은 주14수식을 갖추고 을 타고 궁궐로 항하는데, 이때 모(姆)가 경의를 덧입혀 주4.

변천 및 현황

경의는 간편하게 입을 수 있는 양삼에서 출발하였으나, 먼지를 막아 옷을 선명하게 한다는 의미의 명의로 덧입었다. 주5의궤에는 '경의'가 남아 주6 『(영조정순후) 가례도감의궤』 이후에는 경의에 대한 기록은 확인되지 않는다.

참고문헌

원전

『宋子大全』
『常變通攷』
『世宗實錄』
『國朝五禮儀』
『尙方定禮』
『[英祖貞純后]嘉禮都監都廳儀軌』

단행본

『상방정례』(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2008)
주석
주1

『常變通攷』 4권, 거가잡의 하, 《事物記原》 近世京師士人 朝服乘馬 以黲紗蒙之 謂之凉衫 亦古遺法也

주2

『宋子大全』, 수답 권지 4, 竊意涼衫 如古之景衣 古人出入旣着正服 復以單布爲衣 加於正服之上 以禦塵

주3

『世宗實錄』 36권, 세종 9년 4월 26일(갑신), 儀禮經傳通解云 景明也 景之制 蓋如明衣 加之以爲行道禦塵 令衣鮮明也

주4

『國朝五禮儀』 권 3, 嘉禮, (중략) 至中門外 王妃乘輦 姆加景

주5

『尙方定禮』, 中宮殿 衣襨, 景衣壹次藍廣紗拾貳尺 縫作藍眞絲伍分

주6

『[英祖貞純后]嘉禮都監都廳儀軌』 0001권, 중궁전 의대, 藍廣紗景衣一    바로가기

주7

옛사람이 남긴 법. 우리말샘

주8

의식 때에 입는 정식의 옷. 우리말샘

주9

임금의 아내. 우리말샘

주10

왕세자의 아내. 우리말샘

주11

상중에 있는 상제나 복인이 입는 예복. 삼베로 만드는데, 바느질을 곱게 하지 않는다. 우리말샘

주12

‘한 겹으로 된’ 또는 ‘하나인, 혼자인’의 뜻을 더하는 접두사. 우리말샘

주13

소매의 넓이. 우리말샘

주14

벼슬아치들이 입던 정복(正服). 우리말샘

주15

평상시에 간편하게 입는 옷. 우리말샘

집필자
이민주(한국학중앙연구원 책임연구원)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