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식 ()

목차
관련 정보
의생활
개념
머리를 치장하는 장신구.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내용 요약

수식은 머리를 치장하는 장신구이다. 수식에 관한 가장 오래된 기록은 『수서』·『당서』 등이다. 이에 의하면 신라 부인들은 머리를 땋아 동이고 오색 장식과 구슬로 장식하였다. 수식 유물에는 백제 무령왕릉에서 출토된 왕비의 금뒤꽂이가 있다. 고구려 벽화에도 여인들이 머리띠와 댕기로 머리를 치장한 그림이 있다. 통일신라 때는 복식금제를 통해 장식빗과 장식비녀가 수식으로 쓰였음을 알 수 있다. 고려 여자들의 수식에는 홍라(홍색 댕기)나 비녀가 사용되었다. 조선 시대에는 댕기·비녀·뒤꽂이·떨잠·첩지·장식빗 등 수식이 다양해졌다.

목차
정의
머리를 치장하는 장신구.
내용

머리를 치장하는 습속은 『삼국지』에 부여 · 마한에서는 주옥(珠玉)을 보물로 삼아 귀중하게 애용했다는 기록이 있다. 또 『삼국유사』 「가락국기」에도 금 · 옥이 많이 났다는 기록이 있는 것으로 미루어 일찍부터 있었던 것으로 추정된다.

수식에 관한 최고의 기록은 『수서(隋書)』 · 『남사(南史)』 · 『당서(唐書)』의 기록이다. 이에 의하면 신라 부인들은 머리를 땋아 동이고 오색 장식[雜綵]과 구슬[珠]로 장식하였다는 것이다.

유물로는 백제 무령왕릉에서 출토된 왕비의 금뒤꽂이가 있다. 고구려 벽화에도 여인들이 머리띠같은 것으로 머리를 동이고 댕기와 함께 머리를 치장한 그림이 있다. 통일신라 때는 흥덕왕 복식금제에 장식빗과 장식비녀의 사치를 금한 내용이 있고 또 유물도 출토되고 있다.

고려 때는 『고려도경(高麗圖經)』에 의하면 여자들이 출가 전에는 홍색 나(羅)로 머리를 묶었다. 출가 뒤에는 머리를 틀어서 홍라로 묶고 작은 비녀를 꽂았으며, 남은 머리는 뒤로 늘였다고 한다. 조선시대에는 댕기 · 비녀 · 뒤꽂이 · 떨잠 · 첩지 등이 수식에 이용되었다.

(1) 장식비녀

흥덕왕 복식금제에 진골녀(眞骨女)가 장식비녀에 누금조각과 구슬을 다는 것을 금하였다. 6두품녀에게는 순금을 금하였고 은에 누금조각과 구슬을 다는 것을 금하였다. 5두품녀는 백은, 평인녀는 놋쇠[鍮石]만을 사용하도록 하였다는 기록으로 미루어 신라에는 다양한 종류의 장식비녀가 있었고, 그 사치도 심했던 것으로 추측된다.

유물로는 고려시대의 것이 전해지는데, 이에는 비녀 머리가 둥글고 두 가닥으로 꽂는 것과 한 가닥으로 꽂는 것이 전해진다.

조선 말기의 유물로는 길이 12∼21㎝에 꽃 · 열매 · 새 등을 조각하고, 주옥 · 금패를 붙인 고급품이 전해지고 있다. 특히, 영친왕 가례시에 사용했던 장식비녀는 매우 화려하고 아름답다(현재 동경박물관에 소장되어 있음).

(2) 장식빗

진골녀가 에메랄드로 장식한 대모빗을 꽂는 것을 금하였다는 흥덕왕 복식금제의 기록으로 미루어, 통일신라의 장식빗은 매우 화려하였던 것으로 추측된다.

유물로는 반원형의 빗 위에 금 · 은으로 만든 꽃 · 열매 · 잎을 붙인 것이 전해진다. 언제까지 장식빗이 사용되었는지는 확실하지 않으나 고려 중기까지는 사용하였던 것으로 여겨진다.

(3) 떨잠

떨철반자라고도 한다. 조선시대 상류계급 여인들이 의식 때 어여머리나 큰머리에 꽂았던 장식품으로 장식비녀가 커진 것으로 추정된다.

원형 · 각형(角形) · 나비형의 옥판에 열매 · 꽃 · 새 등을 새기고, 옥 · 진주 · 산호 등으로 장식한 사이사이에 3∼5개의 용수철 기둥을 세운다. 용수철 기둥은 5∼7㎝이며, 그 끝에 나비 · 새 · 꽃 등이 달려 있어 움직이면 하늘하늘 떨렸다. 따라서 떨잠이라는 이름이 붙여졌다.

(4) 뒤꽂이

쪽머리에 꽂는 수식물로 장식을 위한 뒤꽂이와 실용성을 겸한 귀이개뒤꽂이, 빗치개뒤꽂이가 있었다. 뒤꽂이에는 쪽머리에 꽂기 위한 가늘고 긴 부분과 장식을 위한 머리 부분이 있다. 길이는 5∼7㎝로 쪽에 알맞게 자그마하다.

머리부분의 모양에 따라 연봉 · 매화 · 나비 · 천도 · 봉뒤꽂이 등으로 불렸으며, 재료에 따라 진주 · 산호 · 비취 · 칠보 · 파란 · 옥뒤꽂이 등으로 불렸다. 장식이 없는 말뚝뒤꽂이는 서민용이었다.

(5) 첩지

상류계급의 여인이 예장할 때와 궁중에서 평상시에 가리마 위에 하였다. 길이는 5∼6.6㎝이며, 머리부분과 긴 부분으로 되어 있다. 머리부분은 1㎝ 정도이며 조각이 되어 있는데, 용 · 봉 모양은 왕비용이었고, 개구리모양은 내명부외명부용이었다.

(6) 비녀

쪽머리에 꽂는 비녀는 조선 후기 가체금지 후 다양해졌다. 비녀도 긴 부분과 머리부분으로 구성되어 있다.

머리부분은 낭자에서 비녀가 빠져나가는 것을 막아주고 장식도 할 수 있으며, 그 모양에 따라 용잠 · 봉잠 · 원앙잠 · 오두잠 · 매죽잠 · 죽잠 · 매조잠 · 죽절잠 · 목련잠 · 연봉잠 · 석류잠 · 호도잠 · 국화잠 · 민잠 · 말뚝잠 · 조리잠 등으로 불렸다. 재료로는 산호 · 비취 · 옥 · 금 · 은 · 백통 · 뿔 · 대나무 · 나무 등이 쓰였다.

(7) 댕기

땋은 머리를 묶기 위하여 필요한 헝겊으로 여러 가지 종류가 있다.

① 쪽댕기 : 쪽을 질 때 사용하는 가로 1㎝, 세로 20㎝의 헝겊으로 젊은 사람은 홍색, 나이 든 사람은 자주색, 과부는 검정색, 상제는 백색을 하였다.

② 매개댕기 : 큰머리에 어여머리를 할 때 쓰는 댕기로 쪽댕기보다 훨씬 길다.

③ 제비부리댕기 : 처녀 · 총각용의 댕기로 머리를 땋은 뒤 끝에 드린다. 처녀는 홍색, 총각은 흑색을 사용한다. 금박 · 옥판 · 옥나비 등을 붙이기도 한다. 끝이 제비부리처럼 뾰족해서 얻은 이름이다.

④ 큰댕기 : 혼례 때 활옷이나 원삼을 입고 착용하는 뒷댕기이다. 머리의 뒤통수에 고정시키면 치마 길이보다 약간 짧을 정도로 길다. 흑색 또는 검자주색의 사(紗) 등속으로 만드는데 금박 위에 주옥 · 금패 등으로 장식한 것, 색실로 장식한 것 등이 있다. 대댕기 또는 도투락댕기라고도 한다.

⑤ 앞댕기 : 혼례 때 큰비녀의 좌우에 말아 앞으로 늘어뜨리는 댕기이다. 큰댕기의 색과 같게 한다.

⑥ 고이댕기 : 서북지방에서 혼례 때 사용하는 큰댕기이다.

⑦ 아얌댕기 : 아얌의 뒷부분에 장식하는 댕기로 드림이라고도 한다. 큰댕기와 형태가 같다.

⑧ 새앙머리댕기 : 상궁새앙머리에 매는 댕기이다.

⑨ 어린이댕기 : 도투락댕기 · 말뚝댕기 등이 있다. 도투락댕기는 댕기를 드릴 수 없게 머리가 짧을 때 뒤통수에 매달아주는 댕기이며, 말뚝댕기는 머리가 아직 길지 않아 제비부리댕기를 드릴 수 없을 때 사용한다.

참고문헌

『한국복식사』(석주선, 보진재, 1978)
『한국복식사연구』(류희경, 이화여자대학교출판부, 1980)
『조선조말기 왕실복식』(김영숙, 민족문화문고간행회, 1987)
관련 미디어 (9)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