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삼 ()

목차
관련 정보
동궁비 원삼
동궁비 원삼
의생활
물품
조선시대 때 부녀자들이 입던 예복(禮服).
이칭
이칭
단삼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조선시대 때 부녀자들이 입던 예복(禮服).
내용

원삼이란 앞깃이 둥근 데에서 온 명칭으로 옆이 터져 있는 것이 특징이다. 무릎을 덮어 내리는 긴 길이에 앞길은 짧고 뒷길은 길다. 앞여밈은 합임(合袵:섶이 없이 서로 맞대어진 형태)이고, 양 옆길이 절개되어 있다. 원삼은 조선 초 명나라에서 들어온 장삼, 즉 장배자(長褙子)에서 영향을 받은 것이다.

왕비 이하 내·외명부들의 예복으로 착용되었다. 왕비·세자빈·세손빈은 소례복으로, 대군부인 이하 상궁과 관직자 부인(官職者夫人)은 대례복으로 입었다. 그 색은 직위에 따라 차이가 있어 황후는 황원삼, 왕비는 홍원삼, 비빈은 자적원삼, 공주·옹주·반가부녀는 초록원삼을 입었다.

직물은 겨울에는 단(緞)을, 여름에는 사(紗)를 사용하였다. 조선 말기에 황후의 것은 황색 거죽에 남색으로 5.5㎝ 너비의 단을 두른 다홍색 안을 넣었다. 70㎝ 정도의 넓은 소매 끝에는 홍색과 남색의 끝동과 흰색의 한삼(汗衫)을 달았다. 황원삼에는 가슴·등 및 양쪽어깨에 5조룡(爪龍)의 보(補)를 달았다.

왕비의 홍원삼은 남색 단을 두른 미색 안을 넣고 소매에는 황색·남색의 끝동과 흰색의 한삼을 달았다. 여기에는 4조룡의 보를 단다. 공주의 녹원삼은 남색 단을 두른 다홍색 안을 넣고 소매에는 홍색과 황색의 끝동과 흰색의 한삼을 단다. 원삼 속에는 치마·저고리를 입는데, 황원삼에는 용문(龍文)의 대란(大襴)치마를 입는다.

홍원삼에는 봉문의 대란치마를 입으며, 녹원삼에는 화문의 대란치마를 입는다. 궁중여인이 원삼을 입을 때에는 머리 중앙에 어염족두리를 올리고 그 위에 어여머리를 돌려 큰머리를 한다.

중앙에 선봉잠(일명 떨잠이라고도 함.)을 꽂고 좌우에도 선봉잠을 장식한다. 서민은 혼례 때 원삼을 입을 수 있었는데, 그 양식은 궁중의 것에 비하여 소략하였다. 머리에는 족두리를 썼는데 대개 화려한 꾸밈족두리를 썼다.

참고문헌

『상방정례(尙方定例)』
『조선왕조실록(朝鮮王朝實錄)』
『한국복식사』(석주선, 보진재, 1978)
『한국복식사연구』(류희경, 이화여자대학교출판부, 1980)
관련 미디어 (3)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