집의 배치는 임좌병향(壬坐丙向)으로 ㄱ자형의 사랑채와 ㄷ자형의 안채, 그리고 一자형의 중문간 행랑채를 연속하여 건축하였다. 서당으로 사용하던 별당과 천석곳간 · 사당은 따로따로 건축하였다. 남향한 대문간 행랑채를 들어서면 곧바로 사랑마당이 되고, 왼쪽(서쪽)으로 一자형 별당이 동면하여 서 있으며, 사랑채가 남면하여 서 있다.
사랑채는 사랑대청 · 사랑방 · 침방이 ㄱ자형으로 구성되어 있고, 여기에 방과 누마루가 남쪽 전면으로 돌출되어 있다. 중문을 돌아 들어가면 안마당이 되고, 안채가 부엌 · 안방 · 대청 · 건넌방으로 늘어선다. 여기에 또 다른 방들이 전면으로 돌출되어 ㄷ자형 평면을 이루고 있다. 사당은 안채 북쪽으로 따로 쌓은 담장 속에 정면 3칸, 측면 1칸 반의 크기로 건축되어 있다.
소실된 사랑채의 구조는 장대석(長臺石)으로 바른층쌓기를 한 높직한 기단 위에 요석궁터에서 모아온 것으로 생각되는 다듬은 돌초석들을 놓고 방주(方柱)들을 세워 납도리를 받친 납도리집양식이었다. 가구(架構)는 오량으로써 대들보를 앞뒤 평주 위에 걸고 판형의 동자기둥을 세워 종보를 받치고 있다. 다시 이 위에 원판모양으로 깎아 만든 대공을 세워 종도리를 받치고 있는데, 처마는 홑처마이고 팔작지붕으로 되어 있다.
안채의 구조는 사랑채와 같으나, 다만 대청의 전면기둥 한 개와 안방 앞 툇마루에 선 기둥 세 개만은 원기둥으로 되어 있다. 부엌 앞쪽의 방 툇마루에는 계자난간을 가설하였다. 천석곳간은 단순한 민도리집양식으로 맞배지붕의 양쪽 박공에 풍판(風板)을 달았다. 뜰에는 석련지(石蓮池) · 대석(臺石) 등 석물(石物)이 남아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