처마

목차
관련 정보
창덕궁 신 선원전의 처마
창덕궁 신 선원전의 처마
주생활
개념
지붕의 밑 부분으로 서까래가 기둥 밖으로 나온 부분을 통칭하는 건축용어. 첨아(檐牙).
내용 요약

처마는 지붕의 밑 부분으로 서까래가 기둥 밖으로 나온 부분을 통칭하는 건축 용어이다. 넓은 의미에서 서까래가 이루는 부분을 통칭한다. 좁은 의미로는 서까래가 이루는 부분 중에서 주심도리 바깥쪽을 이른다. 처마는 서까래 사이가 앙토 없이 만들어진 삿갓천장과 앙토된 연등천장 두 가지가 있다. 처마를 깊게 하는 방법은 서까래 끝에 다시 덧서까래를 거는 것이다. 처마는 구성 방법에 따라 서까래만으로 된 홑처마와 덧서까래가 첨가된 겹처마로 나눈다. 또 지붕 모양에 따라 박공지붕의 박공처마, 팔각지붕의 합각박공처마로 구분한다.

목차
정의
지붕의 밑 부분으로 서까래가 기둥 밖으로 나온 부분을 통칭하는 건축용어. 첨아(檐牙).
내용

처마는 첨하(檐下, 簷下)또는 첨아(檐牙)라 표기하기도 하며, 단순히 첨(檐, 簷) · 최려(崔櫔) · 적(樀) · 판첨(板檐) · 우(宇) · 삼(0x9667) · 헌(軒)으로 불리기도 한다. 또한, 진해지방의 방언으로는 ‘기스람’이라고 불리고 있다.

처마의 구성요소는 서까래 · 부연(浮椽, 婦椽) · 주1 · 추녀 · 주2 · 박공 등이다. 처마는 넓은 의미에서 서까래가 이루는 부분을 통칭하고 있어서 맞배지붕의 경우는 주31부분까지 포함한다. 서까래가 이루는 부분 중에서 주3 안쪽을 천장이라 부르고, 천장에서 이어지는 주심도리 바깥쪽을 처마라 한다.

처마는 서까래 사이가 주4 없이 만들어진 삿갓천장과 앙토된 연등천장 등 두 가지가 있고, 서까래 끝에 다시 주5를 걸어 처마를 깊게 하는 방법이 있다. 덧서까래 사이의 간격에는 널빤지가 덮여 막음이 되는데 이것을 ‘골개판’ 이라 하며, 이것이 산자처럼 건너지른 널빤지라면 ‘횡개판(橫蓋板)’이라고 한다.

그 구성 방법에 따라 주6주7로 크게 나눌 수 있으며, 지붕 모양에 따라 주8 · 합각박공처마, 처마모서리 서까래의 배치모양에 따라 귀처마 · 선자연처마 · 말굽연처마 · 평행서까래귀처마, 그밖에 회첨처마 등으로 구분한다.

(1) 홑처마

홑처마는 겹처마에 대하여 서까래만으로 구성된 경우를 말하며, 덧서까래가 첨가되어 있으면 이를 겹처마라 한다. 홑처마의 서까래는 끝이 둥글고, 덧서까래는 끝이 네모진 것이 보통이다. 홑처마이면 지붕 끝이 서까래의 평고대(平高臺)에서 시작되고, 겹처마이면 부연 끝의 평고대에서 시작된다.

재래식지붕은 주심도리 또는 외출목도리 주32대로 통나무서까래를 경사지게 내밀어 걸었고, 현대식 건축물에서는 각서까래[角椽]를 쓰는 것이 보통이다. 홑처마는 서까래 끝에 부연을 달지 않고 겹처마는 부연을 달고 있다. 부연을 달지 않는 처마서까래를 보통 들어새연이라고도 한다. 보통 민가에서는 처마내밀기(처마추리)를 90∼120㎝ 정도로 한다.

(2) 겹처마

홑처마의 서까래에 덧서까래가 첨가되어 있으면 이를 겹처마라 하는데, 이때의 서까래는 그 끝이 둥글고 덧서까래는 끝이 네모진 것이 보통이다. 이 네모진 서까래를 각(桷)이라고 하며 덧서까래의 끝을 훑어낸 것을 부연이라 부른다.

겹처마의 구성에서는 먼저 서까래 끝에 각재(角材)로 평고대를 만들어 걸고 서까래 끝을 가지런하게 골라주는 구실과 지붕곡선을 꾸며주는 구실을 맡는다. 겹처마의 지붕 끝은 부연 끝의 평고대에서 시작한다.

기와를 잇는 지붕이면 암키와를 편안하게 앉히기 위하여 평고대 위에 주9을 만들어 박는다. 겹처마에 있어서 부연의 내밀기(부연추리)는 처마서까래내밀기의 3분의 1 내지 5분의 2 정도로 한다.

(3) 박공처마

박공지붕의 건물에서 처마를 박공처마라 한다. 박공처마에는 박공 위에 주10[木只椽]을 걸고 그 위는 주11을 덮는다. 모끼연은 부연과 같이 각서까래로 하고 물매는 2㎝ 정도로 한다. 모끼연은 박공에 자리파기를 하여 주12을 넣고 통물림으로 하며, 뒤끝은 서까래 또는 그 위의 적심목 · 모끼연받이재에 걸쳐 고정한다.

(4)

합각지붕(팔각지붕)주13의 합각머리에 삼각형의 벽을 만들어 그 위를 덮은 지붕의 밑을 합각처마라 한다. 여기에도 모끼연을 걸거나 모끼연 없이 합각박공에 기와를 덮어 처리한다.

박공처마는 측면벽 바깥으로 서까래를 건 처마가 있고 끝에 박공이 달리며 그 바깥쪽에 모끼연이 달린다. 그러나 대개는 합각박공 바로 옆에 벽을 치거나 벽돌을 쌓아 막는다. 합각벽을 흙바름으로 할 때에는 바깥쪽에 널을 대어 보호한다. 이것을 주14이라 한다.

(5) 귀처마

건물의 모서리 기둥 위에 추녀를 걸고 주16 또는 주17를 건 부분을 귀처마라 한다. 귀처마에는 보통 추녀를 걸고 그 옆에 서까래를 거는데 이것을 주15라 한다. 귀서까래는 다음과 같이 배치하는 법이 쓰인다.

① 선자서까래, ② 말굽서까래[馬蹄椽, 馬足椽], ③ 평행서까래[平行椽], ④ 방구막이. 그러나 평행서까래는 현대건축에 쓰일 뿐, 재래한식건축에서 귀서까래가 이와 같이 쓰인 예는 거의 찾아보기 힘들다.

(6) 선자연처마

건물의 모서리 기둥 위에 추녀를 주18주19에 걸고 부챗살모양의 방사형으로 배치한 귀서까래로 이루어진 처마를 선자연처마라 한다. 추녀와 선자서까래 · 면서까래보다 내밀리는데 그 한도는 처마내밀기의 약 4분의 1 정도로 한다. 따라서, 선자서까래의 길이는 모두 달라진다. 그 배치 간격을 잡는 방법은 여러 가지가 있으나 표준적으로 확정된 것은 없다.

(7) 말굽연처마

건물의 모서리 기둥 위에 추녀를 왕지도리와 중도리에 거는 방법은 선자추녀와 같다. 그러나 그 부분의 서까래는 추녀 뒤끝과 왕지도리와의 옆면의 교정을 연장하여 서까래를 방사형으로 배치한다. 그러면 귀서까래는 추녀면에 말굽형모양의 타원형으로 접하게 된다.

이것을 말굽서까래라 하고, 보통 선자서까래보다 건물의 격식이 낮은 주20 등에 쓰인다. 이와 같이 추녀의 귀서까래를 말굽서까래로 건 처마를 말굽서까래처마라 한다.

(8) 평행서까래귀처마

추녀 옆의 귀서까래를 면서까래와 평행으로 건 것을 평행서까래귀처마[平行椽隅檐牙]라 한다. 이것은 현대건축에 쓰이거나 간단한 초가에 쓰일 뿐 재래식 건축에는 별로 쓰이지 않는다.

(9) 회첨처마

건물의 평면이 ㄱ자로 꺾어진 곳을 주21이라 하고 그 양쪽 지붕이 만나는 곳을 회첨처마라 한다. 주22에는 주23를 걸 때도 있고 걸지 않고 서까래만으로 처리할 때도 있다. 추녀를 걸 때에는 춤이 낮은 것을 쓰고 서까래를 보통 나란히

골추녀주24를 쓰지 아니할 때에는 한쪽 지붕의 서까래 끝이 다른 쪽 지붕의 서까래 끝면과 서로 맞닿게 배치한다. 추녀 끝은 사변(斜邊)을 암키와 두 장이 깔릴 수 있는 너비(약 54∼66㎝)가 되도록 삼각판을 댄다. 이것을 주25이라 하며 지붕골이 3골이 될 때에는 사변길이를 약 90㎝ 정도로 한다.

회첨골의 물매는 아주 느리게 되므로 비가 새기 쉽다. 따라서, 골처마를 낮게 하는 것이 좋다. 이는 중부지방에서는 거의 쓰이지 않고 있으나 영남지방에서는 많이 쓰인다.

처마의 주요 구성부분, 또는 처마를 보완하여주는 주요 구성 요소에는 다음과 같은 부분이 있다.

(1) 처마허리와

처마기슭주26은 직선으로 될 때도 있으나 재래식 건축의 처마기슭은 추녀의 부분이 평면적으로 지붕면의 기슭보다 내밀리고 또 위로 휘어 오른 곡선을 이룬다. 평면적으로 휘어 내민 처마기슭을 주27라 하고 입면상으로 추녀 끝이 휘어 오른 것을 처마허리라 한다.

이는 지붕의 단부를 직선적인 수평 · 수직으로 처리하면 시각상 착각이 생겨서 처져 보이거나 추녀가 줄어든 느낌이 드는 것을 교정하기 위한 것이다. 이는 또한 귀에 추녀를 걸고 미관을 조성하는 동시에 구조상으로 이 부분의 처마를 견고하게 꾸미는 데 그 뜻이 있다. 처마허리는 추녀 끝이 들어올리는 완만한 곡선형으로 하고, 처마도리 또는 출목도리의 위에 걸쳐댄다.

여기에 거는 선자서까래는 도리 위에 주28을 대고 서까래는 약간 위로 휘어 오른 듯한 것을 써서 추녀 윗면에서 면서까래까지 주33에 맞춘다. 산방은 추녀의 춤에 따라 다르지만 추녀의 춤에서 서까래 지름을 뺀 높이로 하는데 10∼30㎝(보통 15㎝ 내외)로 할 때가 많다.

재래식 건축에서는 벽체나 출입문의 보호책으로 처마를 길게 내밀었다. 그러나 추녀 부분에서는 일반면보다 더 길게 내밀어야 모서리 사방에서 들이치는 빗물에 안전하게 되고, 또한 추녀가 휘어 오름에 따라 추녀가 줄어든 것 같은 착각을 시정할 수 있는 것이다.

추녀는 면처마추리 길이의 5분의 1 내지 3분의 1(보통 4분의 1 정도)을 더 내미는 것이 보통이다. 따라서, 부연이 달릴 경우에는 처마서까래, 즉 선자서까래 및 추녀를, 그리고 부연은 주29의 길이를 그 비율만큼 길게 뽑아낸다.

(2) 처마박공 끝올리기

박공 끝의 처마도 면처마보다 약간 위로 떠오른 듯이 걸어야 그 부분이 처져 보이는 것을 교정할 수 있다. 따라서, 그 처마도리 끝부분에는 춤 10㎝ 정도의 산방을 서까래밑받침으로 대고 서까래도 약간 위로 들어올린 곡선으로 한다. 이때 처마추리는 면처마보다 내밀지 않는다.

(3) 방구막이

초가지붕에서 추녀가 내민 부분의 처마에 주30을 이어 아물림을 좋게 하기 위하여 추녀와 귀서까래를 짧게 하여 처마의 귀를 둥글게 접은 것을 방구막이라 하고 그 처마를 방구막이처마라 한다. 이때에는 추녀를 걸기도 하지만 보통 굵은 서까래를 쓴다.

참고문헌

『한국의 살림집』(신영훈, 열화당, 1983)
주석
주1

처마 끝에 가로로 놓은 오리목. 우리말샘

주2

겹처마의 귀에서 추녀 끝에 잇대어 단 네모지고 짧은 서까래. 우리말샘

주3

기둥의 중심 위에서 서까래를 받치고 있는 도리. 우리말샘

주4

서까래 위에 산자를 엮고 지붕을 이은 다음 밑에서 흙을 바르는 일. 또는 그 흙. 우리말샘

주5

지붕의 물매를 잡기 위하여 서까래 위에 덧걸어 지붕을 꾸미는 서까래. 우리말샘

주6

부연을 달지 않고 처마 서까래만으로 된 처마. 우리말샘

주7

처마 끝의 서까래 위에 짧은 서까래를 잇대어 달아낸 처마. 우리말샘

주8

박공벽 바깥으로 내민 처마. 우리말샘

주9

서까래 끝의 암키와를 받기 위하여 평고대 위에 덧대는 나무. 암키와의 밑면에 맞게 톱니같이 깎아 낸다. 우리말샘

주10

박공지붕, 합각지붕에서 박공에 직각으로 거는 짧은 서까래. 우리말샘

주11

서까래, 부연, 목반자 따위의 위에 까는 널빤지. 우리말샘

주12

나무나 돌을 이어 붙일 때 그 부분을 서로 두께의 반씩 도려내고 합한 자리. 우리말샘

주13

위 절반은 박공지붕으로 되어 있고 아래 절반은 네모꼴로 된 지붕. 우리말샘

주14

박공집으로 지은 전각이나 신당(神堂)의 두 쪽 박공 아래에, 바람과 비를 막으려고 길이로 잇대는 널빤지. 우리말샘

주15

네모지고 끝이 번쩍 들린, 처마의 네 귀에 있는 큰 서까래. 또는 그 부분의 처마. 우리말샘

주16

추녀 옆에서 중도리의 교차점을 중심으로 하여 부챗살 모양으로 배치한 서까래. 우리말샘

주17

안쪽 끝을 말굽 모양으로 만들어 양쪽으로 붙이는 서까래. 우리말샘

주18

모서리 기둥 위에 얹는 도리. 우리말샘

주19

동자기둥에 얹어서 서까래나 지붕널을 받치는 가로재. 우리말샘

주20

일반 백성의 살림집. 우리말샘

주21

처마가 ‘ㄱ’ 자 모양으로 꺾이어 굽은 곳. 우리말샘

주22

처마가 ‘ㄱ’ 자 모양으로 꺾이어 굽은 곳의 지붕골. 우리말샘

주23

처마가 ‘ㄱ’ 자 모양으로 꺾이어 굽은 곳에 있는 추녀. 보통은 걸지 않는다. 우리말샘

주24

지붕골이 있는 처마. 우리말샘

주25

건물의 모퉁이에 있는, 공포를 받치는 짧은 나무토막. 우리말샘

주26

지붕의 가장자리. 우리말샘

주27

안쪽으로 휘어 들어간 처마의 곡선. 우리말샘

주28

추녀 곁의 도리 위에 서까래를 걸기 위하여 한쪽 머리는 두껍고 다른 한쪽 머리는 얇게 깎아서 붙이는 삼각형의 나뭇조각. 우리말샘

주29

겹처마의 귀에서 추녀 끝에 잇대어 단 네모지고 짧은 서까래. 우리말샘

주30

초가집의 지붕이나 담을 이기 위하여 짚이나 새 따위로 엮은 물건. 우리말샘

주31

지붕 위의 양옆에 박공으로 ‘人’ 자 모양을 이루고 있는 각. 우리말샘

주32

수평을 기준으로 한 경사도. 에스아이(SI) 단위에서는 수평 길이 1미터에 대한 수직 높이로 표시한다. 우리말샘

주33

실 따위의 양쪽 끝을 고정시키고 중간 부분을 자연스럽게 늘어뜨렸을 때, 실이 이루는 곡선. 우리말샘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