계산서 ()

현대문학
작품
이선희(李善熙)가 지은 단편소설.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이선희(李善熙)가 지은 단편소설.
내용

1937년 『조광(朝光)』 3월호에 발표되었다. 「매소부(賣笑婦)」와 함께 그의 대표작으로 꼽힌다. 남성본위의 가치 및 질서로부터 여성의 폐해의식과, 남성과 대등한 인간으로서의 여성의 존재 확인을 추구하는 일련의 작품 중의 하나이다.

일인칭 화자인 ‘나’는 단란한 신혼 중인데, 성격은 기민하지 못한 편이고 씀씀이가 매우 헤프다. 임신해서 신생아를 기다리던 중, ‘나’는 사고로 다리가 절단되어 불구가 된다. 병신이 된 아내에 대한 남편의 애정이 감소되자, ‘나’는 배신감과 절망감에 빠진다. 한편, 건강한 남편에 대한 아내로서의 질투와 의심에 빠지는 나날을 지내면서, 차차 신경병적인 증세를 보이게 된다.

그녀는 애정 없는 명목상의 가정을 탈피하여 자학과 모색의 길을 떠나 유랑하다가 광막한 북국의 호인(胡人)들이 사는 어느 마을에 도착한다. 그녀가 숙소로 택한 집의 주인도 ‘나’처럼 불행한 백계 러시아인이다. ‘나’는 자신의 결혼과 인생에서 겪은 심리적·신체적인 피해에 대한 보상욕구를 강렬하게 느낀다. 자신의 잃은 다리에 대한 보상으로 남편의 다리, 즉 남편의 목숨이 주어져야 마땅할 것 같은 생각이 든다. 그것이 그녀가 그녀의 인생에 청구한 계산서이다.

의의와 평가

여성문학의 중요한 쟁점들인 여성리얼리즘과 여성의 자아확립, 남성 우월주의에 대한 비판 등의 의식이 나타난 작품으로서, 당시 문학비평계의 주목을 받았다. 남편으로부터 소외된 고통과 비애를 견디지 못하고 파멸의 길로 전락하는 여성의 불행을 다루지 않고, 과감히 자신의 불행한 현실로부터 탈피하여 당시 여성으로서는 대모험인 편력을 감행하며, 피해보상까지 요구하는 능동적인 의식을 보인다는 점이 이 작품의 특징이다.

그리고 인식의 폭도 일반적인 여성의 체험공간인 가정을 벗어난다는 점에서, 1930년대 여성의 보편적인 체험과 상당한 거리를 유지하면서, 당시 여성문학의 방향을 제시한 작품이다.

참고문헌

『원본한국근대소설의 이해』Ⅱ(전광용 편, 민음사, 1983)
『한국현대소설사』(이재선, 홍성사, 1979)
『한국여류문학의 특질』(김용숙, 아세아여성연구, 1975)
『조선신문학사조사』현대편(백철, 백양당, 1949)
「식민지 여성 소비자와 1930년대 후반의 근대 인식:이선희의 「계산서」를 중심으로」(하신애, 『한국현대문학연구』 37, 한국현대문학회, 2012)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