계해반정록 ()

고전산문
작품
인조반정의 전말을 적은 작자 · 연대 미상의 기록.
목차
정의
인조반정의 전말을 적은 작자 · 연대 미상의 기록.
구성 및 형식

한글 필사본이며, 한문본의 존재 여부는 알 수 없다. 1972년 처음으로 학계에 소개되었다.

내용

책의 내용은 인목대비(仁穆大妃)에 대한 소개로부터 시작하여 선조가 죽을 때 일곱 대신에게 내린 유교의 내용, 광해군의 즉위, 폐모대론(廢母大論), 대비의 서궁유폐, 인조반정의 전조(前兆), 반정의 진상, 반정 후 공신들에 대한 논공행상(論功行賞)으로 엮어져 있다.

이 작품은 작자는 서로 달라도 성격상 「계축일기(癸丑日記)」의 후편이라고 볼 수 있다. 또, 이 두 작품은 계축년(광해군 5)과 계해년의 10년이라는 시간적 거리, 즉 ‘일기’와 ‘반정록’의 개념차만큼 서술입장이 대조적이다.

즉, 「계축일기」는 인목대비 편에서 그의 불행한 처지에 같이 울고, 적대되는 광해군 편에 대해서는 증오·경멸하여, 그 작가적 자세에 노골적으로 편파성을 드러낸다. 그러나 「계해반정록」은 폐모 논의 때 신하들이 임금께 글을 올리고 임금이 이에 대한 가부를 적어 내린 상소비답(上疏批答)에 있어 실록대로 비교적 공정한 입장을 취하였으며, 마음 약한 광해군의 모습을 묘사하여 오히려 동정적인 면도 기록하고 있다.

또, 그 결구에 있어서도 「계축일기」는 광해군초부터 시작되는 대비 편에 대한 박해의 실상에 역점을 두었기 때문에 영창대군(永昌大君)의 끌려나가는 장면이 절정을 이루고 있다. 그러나 「계해반정록」은 전반부는 소략하게 언급하고 후반부는 밀도있게 다루었으며, 특히 반정(反正) 자체에 조명을 비추었다. 이렇게 「계해반정록」은 인조반정의 실기에 약간의 일화를 삽입한 정도의 공적 기록 같은 인상을 주는 점에서 실기문학(實記文學)이라고 할 수 있다.

「계해반정록」의 문학적 가치로는 「계축일기」의 애련한 감상과 호소력을 따라가지 못한다. 다만, 실기라 하더라도 내용에 있어 사실과는 어긋나는 몇 가지의 대목으로 보아, 제작연대는 인조반정으로부터 상당한 시간적 거리가 있는 것으로 보인다.

참고문헌

『조선조여류문학의 연구』(김용숙, 숙명여자대학교출판부, 1979)
집필자
김용숙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