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려적 ()

목차
국악
유물
삼국시대 고구려에서 일본에 전해져 일본의 우방악(右方樂)인 고려악에 사용된 횡적(橫笛).
이칭
이칭
박적(狛笛), 고래포강(古來布江)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삼국시대 고구려에서 일본에 전해져 일본의 우방악(右方樂)인 고려악에 사용된 횡적(橫笛).
내용

한자로는 박적(狛笛) 또는 고래포강(古來布江)이라고 쓴다. 현재 일본에 전하고 있는 고마부에(高麗笛)는 길이가 약 1척2촌, 관의 지름은 약 3푼의 대나무로 되어 있고 지공(指孔)이 6개, 취구(吹口)가 하나로 되어 있다.

원래 고구려에서 횡취(橫吹)라는 명칭으로 사용되었고, 무용총(舞踊塚)·장천(長川)제1호분·집안 오회분 5호묘 등의 고분벽화에 보이고 있다. 이러한 사실로 미루어 대개 5세기경부터 고구려 음악에서 사용된 것으로 여겨지고 있다.

일본에서는『일본후기(日本後紀)』에 백제악과 더불어 고구려악에 횡적사(橫笛師) 4인으로 기록이 되어 있고, 848년의 일본 아악료(雅樂寮)의 태정관부(太政官簿) 기록에도 횡적생 4인으로 되어 있다.

이후 일본의 고려악에서 계속 사용된 것으로 여겨진다. 현재의 고마가쿠(高麗樂)에서 주요선율을 담당하고 있으며, 일본의 당악(唐樂)에서 사용되는 류데키(龍笛)와 구별되고, 서양음악의 피콜로(piccolo)처럼 높은 음을 담당하고 있으며 영롱한 음색을 내고 있다.

참고문헌

『일본후기(日本後紀)』
『왜명유취초(倭名類聚抄)』
『일본고대음악사론』(萩美津夫(추미진부), 길천홍문관, 1978)
『한국악기대관』(장사훈, 문화재관리국, 1976)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