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청도 북부의 일부와 강원도지방의 일부 민요들도 포함하고 있어, 중부지방 민요라는 말과 같은 뜻으로 쓰인다. 전문적인 소리꾼들에 의해 불려진 통속민요와 그렇지 않은 토속민요가 있는데, <노랫가락> · <창부타령> · <방아타령> · <양산도> · <오봉산타령> · <사발가> · <군밤타령> · <흥타령―천안삼거리> · <강원도아리랑> 등의 통속민요가 잘 알려져 있다.
연주형태에 따라서는 좌창과 입창, 즉 앉아서 부르는 소리와 서서 부르는 소리로 나누어지는데, <노랫가락> · <오봉산타령> · <양유가> 등이 좌창에 속하고, <양산도> · <방아타령> · <경복궁타령> 등이 입창에 속한다. 좌창은 경기 긴 잡가식의 좌창과, 입창은 경기산타령과 같은 입창과 맥이 통한다.
일반적인 음악적 특징은 남도민요에 비해 한 글자에 여러 개의 음이 붙는 일자다음식의 선율이 많아, 가락의 굴곡이 유연하면서도 다채롭고 명쾌하다. 선법은 5음음계로 된 평조선법으로 장3도와 단3도의 음진행이 많고, 5음이 골고루 쓰이면서 주요음의 선율 골격은 완전4도를 주축으로 하고 있는 것이 특징이다.
이러한 음조직은 같은 평조라고 하더라도 <창부타령>이나 <노랫가락>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서양음악식의 계명창법에 의한다면 솔 · 라 · 시 · 도 · 레로 불려지는 것이 있는가 하면, <한강수타령>이나 <경복궁타령>에서처럼 라 · 도 · 레 · 미 · 솔로 부를 수 있는 곡들도 있다.
장단은 굿거리장단 · 타령장단 · 세마치장단이 많이 쓰이며, 흥겹고 경쾌한 맛을 풍기고 있다. 창법에서도 급격히 떨거나 꺾거나 흘러내리는 음이 별로 많이 쓰이지 않고 있어, 명쾌한 맛을 풍기며 부드럽고 유창하며 서정적이다.
한편, 경기도지방의 토속민요로서 고양시 들노래는 솔 · 라 · 시 · 도 · 레 · 미로 불려지다가 ‘미’ 음이 ‘파’ 음으로 바뀌어 부를 때도 있어 마치 조가 바뀌는 듯한 분위기를 자아내기도 한다.
경기도지방의 토속민요는 일찍이 서울의 영향을 받아서 이미 많이 없어져, 1960년대 이후 녹음에 의해 채집된 민요들이 별로 없기 때문에 그 음악적 특징을 찾아내기 힘들다.
그러나 <양산도> · <방아타령>과 같은 통속화된 민요를 통해서 옛날 경기지방의 토속적인 민요도 얼마만큼 명쾌하고 흥취 있는 가락과 장단으로 짜여져 있었는가를 유추할 수 있다.
경기도의 통속민요는 1974년 중요 무형문화재(현, 국가무형유산)로 지정되었고, 이경옥(李瓊玉, 예명 묵계월) · 이윤란(李潤蘭, 예명 이은주)이 그 예능보유자로 지정되었다→경기소리, 민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