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민요 ()

목차
관련 정보
경기민요
경기민요
국악
개념
서울과 경기도를 중심으로 전문적인 소리꾼에 의해 불린 민요.
목차
정의
서울과 경기도를 중심으로 전문적인 소리꾼에 의해 불린 민요.
내용

충청도 북부의 일부와 강원도지방의 일부 민요들도 포함하고 있어, 중부지방 민요라는 말과 같은 뜻으로 쓰인다. 전문적인 소리꾼들에 의해 불려진 통속민요와 그렇지 않은 토속민요가 있는데, <노랫가락>·<창부타령>·<방아타령>·<양산도>·<오봉산타령>·<사발가>·<군밤타령>·<흥타령―천안삼거리>·<강원도아리랑> 등의 통속민요가 잘 알려져 있다.

연주형태에 따라서는 좌창과 입창, 즉 앉아서 부르는 소리와 서서 부르는 소리로 나누어지는데, <노랫가락>·<오봉산타령>·<양유가> 등이 좌창에 속하고, <양산도>·<방아타령>·<경복궁타령> 등이 입창에 속한다. 좌창은 경기 긴 잡가식의 좌창과, 입창은 경기산타령과 같은 입창과 맥이 통한다.

일반적인 음악적 특징은 남도민요에 비해 한 글자에 여러 개의 음이 붙는 일자다음식의 선율이 많아, 가락의 굴곡이 유연하면서도 다채롭고 명쾌하다. 선법은 5음음계로 된 평조선법으로 장3도와 단3도의 음진행이 많고, 5음이 골고루 쓰이면서 주요음의 선율 골격은 완전4도를 주축으로 하고 있는 것이 특징이다.

이러한 음조직은 같은 평조라고 하더라도 <창부타령>이나 <노랫가락>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서양음악식의 계명창법에 의한다면 솔·라·시·도·레로 불려지는 것이 있는가 하면, <한강수타령>이나 <경복궁타령>에서처럼 라·도·레·미·솔로 부를 수 있는 곡들도 있다.

장단은 굿거리장단·타령장단·세마치장단이 많이 쓰이며, 흥겹고 경쾌한 맛을 풍기고 있다. 창법에서도 급격히 떨거나 꺾거나 흘러내리는 음이 별로 많이 쓰이지 않고 있어, 명쾌한 맛을 풍기며 부드럽고 유창하며 서정적이다.

한편, 경기도지방의 토속민요로서 고양시 들노래는 솔·라·시·도·레·미로 불려지다가 ‘미’ 음이 ‘파’ 음으로 바뀌어 부를 때도 있어 마치 조가 바뀌는 듯한 분위기를 자아내기도 한다.

경기도지방의 토속민요는 일찍이 서울의 영향을 받아서 이미 많이 없어져, 1960년대 이후 녹음에 의해 채집된 민요들이 별로 없기 때문에 그 음악적 특징을 찾아내기 힘들다.

그러나 <양산도>·<방아타령>과 같은 통속화된 민요를 통해서 옛날 경기지방의 토속적인 민요도 얼마만큼 명쾌하고 흥취 있는 가락과 장단으로 짜여져 있었는가를 유추할 수 있다.

경기도의 통속민요는 1974년 중요 무형문화재로 지정되었고, 이경옥(李瓊玉, 예명 묵계월)·이윤란(李潤蘭, 예명 이은주)이 그 예능보유자로 지정되었다→경기소리, 민요

참고문헌

「태백산맥이동지방의 민요선법의 연구」(한만영, 『예술원논문집』 12, 대한민국예술원, 1973)
「경기도의 민속음악」(장사훈·한만영·이보형·황준연, 『한국음악연구』 6·7 합병호, 한국국악학회, 1977)
『한국민속종합조사보고서』-경기편-(문화재관리국, 1978)
『팔도소리전집해설』(뿌리깊은나무, 1984)
관련 미디어 (1)
집필자
권오성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