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무래

목차
관련 정보
고무래
고무래
산업
물품
논이나 밭의 흙을 고르거나, 씨뿌린 뒤 흙을 덮을 때, 또는 곡식을 모으거나 펴는 데 쓰는 연장.
이칭
이칭
고래당그래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논이나 밭의 흙을 고르거나, 씨뿌린 뒤 흙을 덮을 때, 또는 곡식을 모으거나 펴는 데 쓰는 연장.
내용

작은 것은 ‘고래당그래’라 하여 아궁이의 재를 쳐내기도 한다.(『농사직설農事直說)』에는 ‘把撈(鄕名 推介)’, 『고사신서(攷事新書)』 농포문(農圃門)에는 ‘木朳’로,(『해동농서海東農書)』에는 ‘고미ᄅᆡ’로 표기되었다. 그리고 『고사신서』 농포문의 ‘木爬’도 고무래를 가리키는 것으로 보인다.

지역에 따라 거문데(경기도 안산)·땡길개(충청북도 제천시 봉양읍)·고물개(충청남도, 경기도 안성)·당그래(경상남도 창녕, 경기도 덕적)·밀기(경상북도 성주)·당글개(전라남도 거문도)·밀개 또는 멸개(강원도 도계)·미래(전라남도 광산) 등으로 불린다.

형태는 일정하지 않으나 직사각형·반달형 또는 사다리형의 작은 널조각 위쪽에 둥근 자루를 박아 고무래정자(丁字)의 형태를 이룬다. 어떤 곳에서는 고무래에 짧은 발을 달아 쓰기도 하는데, 발고무래라고 한다. 『농사직설』의 ‘뇌목첨기하단(檑木尖其下端)’은 이를 가리키는 것으로 생각된다.

참고문헌

『한국농기구고』(김광언, 한국농촌경제연구원, 1986)
『한국의 농기구』(김광언, 문화재관리국, 1969)
관련 미디어 (1)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