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하도 이충무공 유적 ( )

목차
관련 정보
고하도 이충무공 유적
고하도 이충무공 유적
조선시대사
유적
국가유산
전라남도 목포시 고하도에 있는 조선후기 정유재란 당시 충무공 이순신 관련 사적지. 사당(祠堂).
시도자연유산
지정 명칭
고하도이충무공유적(高下島李忠武公遺蹟)
분류
유적건조물/인물사건/인물기념/사우
지정기관
전라남도
종목
전라남도 시도기념물(1974년 09월 24일 지정)
소재지
전남 목포시 달동 산230번지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전라남도 목포시 고하도에 있는 조선후기 정유재란 당시 충무공 이순신 관련 사적지. 사당(祠堂).
개설

고하도 이충무공 유적(高下島李忠武公遺蹟)은 이순신 장군이 1597년(선조 30)에서 1598년(선조 31)까지 108일간 머물면서 전쟁에 대비하며 군진을 재정비했던 곳으로, 전라남도 목포시 달동 고하도에 위치한다. 1974년 9월 24일에 전라남도 기념물로 지정되었고 목포시에서 관리하고 있다.

내용

이순신 장군은 명량대첩 뒤에 군산 앞바다의 고군산도(古群山島)까지 올라갔다가 다시 내려와 1597년(선조 30) 10월 29일에 이곳 고하도(高下島)로 진을 옮겼다. 고하도는 목포에서 서남쪽으로 2㎞쯤 떨어진 곳에 자리한 조그만 이다. 조선시대에는 나주목(羅州牧)에 속했으며, 비문에는 고화도(高和島), 『난중일기(亂中日記)』에는 보화도(寶花島)라고 표기하였다. 서남해안의 바닷길과 영산강의 내륙 수로가 연결되는 지점으로 지리적으로도 중요한 곳이다.

이 섬의 지형은 서북쪽이 병풍처럼 높이 솟아 있어 겨울에 북서풍을 막아줄 수 있는 구조였기 때문에 를 감추기에도 적합한 곳이었다. 이곳에서 이순신은 수군 재건에 필수적인 전선 건조와 군량 모집을 계속하였다. 그러나 지리적 위치가 서해 쪽으로 치우쳐 있어서 남해에서의 해상 활동에 적절하지 못한 약점이 있었다. 또한 섬이 작아 곡물 생산이 적었고, 유입된 백성을 수용할 공간이 부족하였다. 이러한 이유로 이듬해인 1598년(선조 31) 2월 17일 완도(莞島) 동북쪽에 위치한 고금도로 통제영을 옮겼다. 주둔 기간은 총 108일간이었다.

고금도진으로 옮겨간 이후 고하도진에는 별장(別將)이 배치되었다가 1647년(인조 25) 고하도진마저 당곶(唐串, 현재 전라남도 목포시 하당 일대)으로 옮겨감에 따라 폐진되었다. 선착장에서 약 200m 떨어진 당산에 1722년(경종 2)에 세운 유허비가 있다.

참고문헌

『교감완역 난중일기』(노승석 역, 민음사, 2010)
『임진왜란 해전사』(이민웅, 청어람미디어, 2004)
『문화재도록』-도지정문화재편-(전라남도 문화예술과, 1998)
『역사유적』(김경옥, 목포시의 문화유적, 목포시·목포대박물관, 1992)
「조·명 연합함대의 형성과 노량해전 경과」(이민웅, 『역사학보』178, 2003)
문화재청(www.cha.go.kr)
관련 미디어 (3)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