곽색전 ()

목차
관련 정보
석주집 / 권필
석주집 / 권필
한문학
작품
조선 중기에 권필(權韠)이 게를 의인화해 지은 가전체소설.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정의
조선 중기에 권필(權韠)이 게를 의인화해 지은 가전체소설.
개설

무장공자(無腸公子)인 ‘게’를 의인화한 것이다. ‘곽삭’이란 무장공자의 별칭으로 게가 조급히 걷는 모양을 형용한 말이다. 『석주집(石洲集)』에 「주사장인전(酒肆丈人傳)」과 함께 실려 있다.

내용

곽삭은 오나라 출신으로 그의 가계 소개를 하는 것으로 시작된다. 곽삭의 성격은 조급하나 뜻이 높아서 세상에 나가지 않고 못[澤] 안에 있었다. 왕이 그를 등용하고자 하였으나 나아가지 않았다. 왕은 곽삭이 대대로 횡초지공(橫草之功: 싸움터의 풀을 가로 쓰러뜨린 공이라는 뜻으로, 전장에서 산야를 달리며 세운 공)이 있다고 하여 식읍(食邑)을 주었다.

곽삭과 서로 기미(氣味)가 맞는 순(醇: 술의 별칭)이 때때로 자리를 같이하였다. 한나라의 장군인 팽월(彭越)의 후예로 기(蜝: 방게)가 있었는데, 외형은 곽삭을 닮았지만 음적(陰賊)을 품어 사대부가 좋아하지 않았고, 한무제 때에 곽해자(郭解子)는 공손홍(公孫弘)에게 주살되었으나 그가 곽삭의 선조인지 확실하지 않다는 것으로 작품이 끝난다.

그리고 저자는 게를 세상에서 창자가 없는 놈이라 희롱을 하지만 늠연히 초택(草澤)에서 일생을 마쳐 은자의 덕이 있음을 기리고 있다.

의의와 평가

이 작품은 전통적 가전형식을 답습하고 있으나, 그 내용이 방외자적인 삶의 지향을 반영하고 있어 평생 관직에 나아가지 않고 뛰어난 시재를 보였던 작자의 생애를 짐작하게 한다.

참고문헌

『석주집(石洲集)』
『문집소재전자료집(文集所在傳資料集) 1』(김균태, 계명문화사, 1986)
관련 미디어 (1)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