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동와주 ()

목차
관련 정보
근재집 / 관동와주
근재집 / 관동와주
한문학
문헌
고려후기 문인 안축의 시 「관동와주」 · 「대우탄」 · 「염호」 등을 수록한 시집.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고려후기 문인 안축의 시 「관동와주」 · 「대우탄」 · 「염호」 등을 수록한 시집.
내용

저자가 47세(1328년) 때 강릉도존무사(江陵道存撫使)가 되어 그 이듬해까지 관동 명승지를 살펴보고, 그 감회를 한시로 읊은 기행시들이다. ≪관동와주≫가 실린 ≪근재집 謹齋集≫ 함주본 권1에 실려있다.

모두 145수로 오언율시 18수, 오언고시 10수, 칠언절구 76수, 칠언율시 34수, 칠언고시 7수가 수록되어 있다. 이 시집에 실린 한시문을 보면, 당시 목민관으로서 백성을 가엾게 여기는 마음이 잘 드러나 있다.

우선 1328년(충숙왕 15) 5월 30일 개성을 출발하여 백령역(白嶺驛)에서 잠자던 밤 큰 비가 쏟아질 때 지은 시나, <대우탄 大雨歎> 등에서 수재로 말미암아 백성들이 당하는 고통을 덜어주려 근심하는 모습과, 관동지방의 명승인 금강산·국도(國島)·천도(穿島) 등을 관광하러 줄을 잇는 관료들의 접대에 골몰하는 백성들의 참담한 모습을 그렸다.

그리고 <삼탄 蔘歎>·<염호 鹽戶> 등에서는 관료들의 극도에 달한 가렴주구의 모습들을 읊었다.

의의와 평가

이 기행시문의 마무리로 쓴 작품이 경기체가인 <관동별곡>이라 할 수 있다. 따라서, ≪관동와주≫의 한시들을 앎으로써, <관동별곡>을 좀더 깊이있게 이해할 수 있다는 데서 문헌적 의의가 높다 하겠다.

참고문헌

『죽계지(竹溪誌)』
『조선가요집성』(김태준, 조선어문학회, 1934)
『향가여요신석(鄕歌麗謠新釋)』(지헌영, 정음사, 1946)
『여요전주(麗謠箋注)』(양주동, 을유문화사, 1959)
『고려가요의 연구』(이명구, 신아사, 1974)
「근재시가고」(김창규, 『영주경상전문대논문집』 2, 1979)
「근재관동별곡평석고」(김창규, 『대구교육대학국어교육논지』 8, 1981)
관련 미디어 (1)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