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양찬 ()

안양찬 / 함어당어록
안양찬 / 함어당어록
고전시가
작품
조선 전기에 기화(己和)가 지은 경기체가.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정의
조선 전기에 기화(己和)가 지은 경기체가.
구성 및 형식

전체 10장. 『함허당어록(涵虛堂語錄)』에 전한다. 불교인이 염원하는 세계인 안양을 찬양하여, 안양에 태어나고자 하는 마음을 표현한 작품이다.

내용

제1장은 아미타불과 석가가 함께 대비로 중생을 제도하는 은혜가 부모와 같음을 읊었고, 제2장은 서방에 있는 부처가 현재 설법하는 많은 모임의 밝음을, 제3장은 서방세계에는 근심이 없고 즐거움만이 있음을, 제4장은 서방세계에 있는 건물과 나무가 모두 장엄함을, 제5장은 꽃 연못에서 삶을 얻음을, 제6장은 시방세계(十方世界)의 유행(遊行)을, 제7장은 동물소리와 바람소리를 듣고 수행을 증진함을, 제8장은 수명이 길고 요원함을, 제9장은 벗으로 인하여 수행을 증진함을, 제10장은 모든 마음이 왕생함을 각각 노래하고 있다.

의의와 평가

형식상 자수는 「한림별곡」과 같으나, ‘위(爲, 偉)’와 ‘경기하여(景幾何如)’가 빠져 있다. 작자가 승려라는 점은 경기체가 작자군이 유생뿐만이 아니라는 점을 보여주고, ‘위’와 ‘경기하여’의 생략이 경기체가 장르의 불교적 변용을 보여주는 작품이다.

참고문헌

『함허당어록(涵虛堂語錄)』
「별곡체가연구(別曲體歌硏究)」(김창규, 『국어교육연구』 3, 1971)
「함허당고(涵虛堂攷)」(김창규, 『동양문화』 6·7, 1968)
관련 미디어 (1)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