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 덕풍리 유적 ( )

선사문화
유적
경기도 하남시 덕풍동에 있는 청동기시대 집터 및 제의 바위 유적.
이칭
이칭
하남덕풍동유적
유적
건립 시기
청동기시대
소재지
경기도 하남시
내용 요약

광주덕풍리유적은 경기도 하남시 덕풍동에 있는 청동기시대 집터 및 제의 바위 유적이다. 광주덕풍리유적은 산 맨 꼭대기 부분의 바위를 제의 장소로 활용했다는 점과 언덕에 흩어져 퍼져 있는 가옥의 모양이나 상태를 확인한 점에서 당시 사람들의 신앙과 주거 문화에 대한 정보를 제공한다.

정의
경기도 하남시 덕풍동에 있는 청동기시대 집터 및 제의 바위 유적.
발굴 경위 및 내용

경기도 하남시 덕풍동에 소재한다. 덕풍동수리골유적(덕풍동 산24-1번지, 기전문화재연구원 2005)과 덕풍동유적Ⅰ지역(덕풍동 산24-4번지, 세종대학교박물관 2005)은 같은 언덕에 위치하며, 여기에서 남서쪽으로 1㎞ 떨어진 언덕땅에 덕풍동유적Ⅱ지역(덕풍동 산64번지 일원, 세종대학교박물관 2007)이 분포한다.

덕풍동수리골유적에서는 청동기시대 집터 2기를 비롯하여 삼국시대 백제 구덩무덤〔土葬墓〕 2기, 남북국시대 돌덧널무덤〔石槨墓〕 5기, 고려~조선시대 구덩무덤 29기가 발굴되었다. 청동기시대 집터는 상당 부분 파괴되었지만, 직사각형 평면으로 판단된다. 내부에서 확인된 시설은 없으며 바닥의 일부는 점토다짐되어 있다.

덕풍동유적Ⅰ지역에서는 청동기시대 직사각형 집터 1기와 구덩 주1 1기, 고려~조선시대 구덩무덤 26기, 가마 2기 등이 확인되었다. 덕풍동유적Ⅱ지역에서는 청동기시대 이후의 제의 관련 바위와 청동기시대 집터 1기, 배수 유구 1기, 불 땐 자리 1기, 그리고 삼국~통일신라시대 무덤 10기가 조사되었다.

청동기시대 유물은 골아가리무늬토기〔口脣刻目文土器〕, 구멍무늬토기〔孔列文土器〕, 골아가리구멍무늬토기〔口脣刻目孔列文土器〕, 겹아가리토기〔二重口緣文土器〕, 겹아가리구멍무늬토기〔二重口緣孔列文土器〕, 짧은빗금구멍무늬토기〔短斜線孔列文土器〕 등의 토기류와 간돌화살촉〔磨製石鏃〕, 반달돌칼〔半月形石刀〕, 대팻날돌도끼〔扁平偏刃石斧〕, 달모양도끼〔環狀石斧〕, 돌칼〔石劍〕, 가락바퀴〔紡錘車〕 등의 석기류가 나왔다.

집터의 연대는 주2 결과 서기전 12-11세기로 나온 것과 서기전 10-9세기로 나온 것으로 나뉜다.

의의 및 평가

광주덕풍리유적(廣州德豊里遺蹟)은 산 맨 꼭대기 부분의 바위를 주3 장소로 활용했다는 점과 언덕에 흩어져 퍼져 있는 가옥의 모양이나 상태를 확인한 점에서 당시 사람들의 신앙과 주거 문화에 대한 정보를 제공한다.

참고문헌

단행본

『하남 덕풍골유적Ⅱ-발굴조사보고서-』(세종대학교박물관, 2007)
『하남 덕풍동유적-덕풍동 산24-4번지 및 덕풍동 559-1번지 발굴조사보고서-』(세종대학교박물관, 2005)
『河南(하남) 德豊洞(덕풍동) 수리골 遺蹟(유적)-시가지 우회도로 확포장공사구간내 시발굴조사보고서-』(기전문화재연구원, 2005)
주석
주1

옛날 토목건축의 구조와 양식을 알 수 있는 실마리가 되는 자취.    우리말샘

주2

방사성 탄소 연대 측정법으로 생물의 절대 연령이나 연대를 잼. 또는 그런 것.    우리말샘

주3

제사의 의식.    우리말샘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