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두점 ()

목차
언어·문자
개념
문장의 논리적 관계를 밝혀 정확한 의미를 전달하기 위한 표기상의 부호. 문장부호.
이칭
이칭
문장부호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문장의 논리적 관계를 밝혀 정확한 의미를 전달하기 위한 표기상의 부호. 문장부호.
내용

이 부호에 관한 규칙을 구두법이라고 한다. 글에서 의미가 끊어지는 부분을 구(句)라 하고, 구 중에서 읽기 편하게 끊는 부분을 두(讀)라 하며, 이 둘을 합쳐 ‘구두’라 한다.

구두점을 찍는 방법으로는 구점(句點)을 문장의 끝에, 두점(讀點)을 문장의 중간에 찍는다. 이러한 방법으로 구두점(‘.’)을 사용한 문헌으로는 세종 때 간행된 ≪훈민정음≫(1446) · ≪용비어천가≫(1447) 등이 있다.

이들 문헌에서 한자 귀퉁이에 찍은 것은 잘못 읽는 것을 막기 위한 사성표시(平聲―〭□, 上聲―〬□, 去聲―□〫, 入聲―□。)로서 이를 권점(圈點)이라고도 한다.

국문에 쓰인 구두점은 ≪용비어천가≫가 처음이나, 그 뒤 ≪지장경언해≫(1765) · ≪염불보권문≫(1776) · ≪음역금강경≫(1796) · ≪아미타경언해≫(1871) 등의 언해류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대개 휴지(休止)를 위한 띄어쓰기의 표시로 사용되는 경향이었다.

그것도 극히 한정된 문헌에서만 쓰이다가, 개화기에 들어와 ≪종묘세고문≫(1894) · ≪독립신문≫(1896) 논설, ≪국문정리 國文正理≫(1897) 등에서와 같이 띄어쓰기의 표시로 쓰였다.

구점(.)과 두점(、)을 형태상으로 구별하여 사용한 것은 1910년 이후였으며, 영어문법을 통하여 들어온 서양의 구두점이 국어문법에 적용되면서 종류가 많아지고 체계가 서게 되었다.

윤치호(尹致昊)의 ≪영어문법첩경≫(1911)에는 구점(,) · 결점(.) · 중점(:) · 반중점(;) · 문점(?) · 감탄점(!) · 인용점(“ ”) · 연획(―)으로 분류하여 설명했으며, 이상춘(李常春)의 ≪조선어문법≫(1924)에서는 사점(、) · 종지점(.) · 의문표(?) · 감탄표(!) · 인용표(『 』) · 소인용표(「 」) · 괄호(( )) · 종선(|) · 쌍종선(∥) · 점선(⋮) · 권점(〬□) · 편괄호( ) ) · 사선(/)을 열거하여 설명하였다.

그러나 이를 더욱 체계적으로 정리하고 종합적으로 명시한 것은 1933년 조선어학회의 <한글맞춤법통일안>이다. 여기에서는 ‘문장에 쓰이는 중요한 부호’라 하여 17종을 처음으로 규정하였지만, 그 명칭은 붙이지 않았다.

다시 1940년 개정 때에는 확장한 총 39종에 대하여 문장에서 쓰는 명칭과 인쇄상의 명칭도 붙이고, 기타 43종의 부호를 덧붙였다.

현재의 구두점은 쓰이는 위치에 따라 문장 끝의 구점과, 문장 안의 두점으로 나뉘고, 넓은 의미의 두점은 부가점(附加點) · 대용점(代用點) · 부각점(浮刻點)으로 구분된다. 그 종류는 〈표〉와 같다.

문장상의 명칭 횡서 출판상의 명칭 종서 출판상의 명칭
∙ 일반부호
① 구점 마침표 · 온점 고리점
물음표 ? 물음표 같음 같음
느낌표 ! 느낌표 같음 같음
② 두점 쉬는표 , 꽁지점 모점
머무름표 ; 포갤 꽁지점 、、 쌍모점
그침표 : 포갤점 ¨ 쌍점
③ 부가점
동위표 · (/) 중간점 (빗근줄) 같음 같음
붙임표 - 외줄 붙임표 ̎ 쌍줄 붙임표
따옴표 “ ” 게발톱점 『』 겹낫표
작은따옴표 ‘ ’ 새발톱점 「」 낫 표
묶음표 ( ) 손톱묶음 같음 같음
〔 〕 꺾쇠묶음 같음 같음
{ } 활짱묶음 같음 같음
④ 대용점
말바꿈표 - 줄 표 같음 같음
풀이표 -- 맞줄표 같음 같음
동안표 -(~) 줄표 (물결표) 같음 같음
방향표 화살표 같음 같음
줄임표 · · · 종종이 같음 같음
말없음표 · · · · · · 점줄 같음 같음
빠짐표 × 가새표 같음 같음
숨김표 ○○ 공공 같음 같음
가지런표 꼬불쌍점 같음 같음
⑤ 부각점 홀이름표
밑줄 |□ 왼덧줄
드러냄표
동그라미 □∘ 같음
· 검정 동그라미 □ · 같음
각설표 § 갈구리표 큰동그라미
∙ 특수부호
① 사전용
긴소리표 _
머릿줄 :□ 왼덧점
떼냄표 - 반토막 같음 같음
도로씀표 온토막 같음 같음
묶음표 ( ) 겹손톱묶음 같음 같음
큰말표 < 가랑이표 같음 같음
작은말표 > 거꿀가랑이표 같음 같음
② 필기용
자거듭표 {{%309}} 가로겹자점 {{%309}} 세로겹자점
말거듭표 < 개미허리
지움표 꺾자
거침표 치칠꺾자 같음 같음
끼움표 가로끼움표 < 세로끼움표
〈표〉 구두점 일람표
*자료 : 한글맞춤법통일안 새판(1940.10.)기준.

참고문헌

「구독법의 심리학적고찰」(이인모, 『이론과 실천문체론』, 동화문화사, 1960)
「세종대의 한자사성표기법」(정연찬, 『국어국문학』 49·50, 1970)
집필자
김민수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