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본웅 ()

목차
관련 정보
구본웅
구본웅
회화
인물
일제강점기 때, 「얼굴 습작」, 「비파와 포도」, 「여인」 등의 작품을 그린 화가.
이칭
이칭
호: 서산(西山), 자: 사영(士英)
인물/근현대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1906년 3월 7일
사망 연도
1952년 2월 2일
본관
능성(綾城)
출생지
서울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일제강점기 때, 「얼굴 습작」, 「비파와 포도」, 「여인」 등의 작품을 그린 화가.
활동사항

1906년 서울에서 출생했다. 창문사(彰文社)를 경영한 구자혁(具滋爀)의 아들로, 2살 무렵 입은 척추 장애로 평생을 단신으로 살았다. 경신(儆新)고등보통학교 재학 시절 미술에 입문, 고려미술원에서 김복진(金復鎭)에게 조소를 배운 뒤, 1927년 제6회 조선미술전람회에서 특선을 차지했다. 1928년 일본 가와바다[川端]화학교를 거쳐, 1929년 니혼[日本]대학 전문부 미학과에서 수학하고, 1933년 다이헤이요[太平洋]미술학교를 졸업했다. 1930년 이과회(二科會)미술전에 조선인으로는 처음 입선했다. 귀국 이후 1934년 목일회(牧日會), 1935년 백만회(白蠻會)의 창립에 참여했고 비평활동도 전개했다. 이외에도 종합문예지 『청색지(靑色紙)』를 창간, 이상(李箱)·이육사(李陸史) 등의 작품을 소개했다. 1939년에는 조선 화단의 '일본 화단화'를 주장하는 글(「조선미전 양화참견기」, 『조선일보』 1939.6.13) 및 '신회화 제작은 화가의 보국'임을 주장하는 글(「조선화적 특이성」, 『동아일보』 1940.5.1~2) 등을 썼다. 특히 「사변과 미술인」(『매일신보』 1940.7.9)에서는 미술인들의 총후봉공(銃後奉公)을 주장했다. 해방 이후인 1946년 미군정청 문교부 편수국에서 미술과목 편수사로 활동했으며, 1949년부터 서울신문사 촉탁으로 근무했다. 1952년 2월 2일 사망했다.

참고문헌

『친일인명사전』1(민족문제연구소, 2009)
『한국근대미술의 역사』(최열, 열화당, 1998)
『근대한국미술가 논고』(이경성, 일지사, 1978)
『매일신보』
『조선일보』
관련 미디어 (3)
집필자
심재욱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