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권 2책. 목활자본. 1955년 아들 성환(成煥)이 편집, 간행하였다. 권두에 이준형(李濬衡)의 서문과 권말에 홍치유(洪治裕)의 발문이 있다. 연세대학교 도서관에 있다.
권1∼3에 시 41수, 상언(上言) 2편, 서(書) 8편, 잡저 4편, 지(識) 7편, 명 3편, 상량문 1편, 축문 4편, 권4·5에 제문 19편, 뇌사(誄辭) 2편, 행록 4편, 부록으로 만사 10수, 제문 4편, 유사 1편, 행장 1편, 묘갈명 1편 등이 수록되어 있다.
시는 청아하고 품격이 높다. 「자지가(紫芝歌)」는 지치의 향기가 다른 풀보다 뛰어남을 칭찬하고, 사람도 지치처럼 남보다 탁월해야 한다는 내용을 옛 가사의 형태로 표현한 것이다. 「원조우음(元朝偶吟)」은 세월이 자꾸만 가는데 뜻한 바는 이루지 못하여 안타까운 심중을 읊은 것이다.
서 가운데 「상정재선생(上定齋先生)」은 스승인 유치명(柳致明)에게 학문하는 방법과 요령을 물은 것이며, 별지의 문목(問目)은 『중용』과 『대학』에 대해 의심나는 것을 질의한 것이다.
「용학강의(庸學講義)」는 구호서당(龜湖書堂)에서 강의한 내용을 적은 것으로, 성리학을 비롯하여 계구(戒懼)·근독(謹獨)·혈구(絜矩) 등에 대해서 언급하고 있다. 「사문일수록(師門日受錄)」은 1861년(철종 12) 5월 7일부터 18일까지 12일간 유치명과 학문에 대해 문답한 것을 구체적으로 적은 것이다.
「향약절목후(鄕約節目後)」는 1891년(고종 28)에 경상도관찰사인 이헌영(李0x9C97永)이 풍속을 순화시키기 위해 『향약절목』 1책을 각 시군에 나누어주고 향약을 시행하도록 권장했는데, 그것을 시행하면서 느낀 소감을 쓴 것으로, 향약의 발생 과정과 유래, 시행의 효과 등을 설명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