규사유고 ()

목차
유교
문헌
조선 후기부터 대한제국기까지 생존한 학자, 송주면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969년에 간행한 시문집.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조선 후기부터 대한제국기까지 생존한 학자, 송주면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969년에 간행한 시문집.
내용

3권 1책. 석인본. 1969년 아들 우회(羽會)가 편집, 간행하였다. 권두에 김영한(金寗漢)의 서문과 권말에 조카 명회(明會)의 발문이 있다. 연세대학교 도서관에 있다.

권1·2에 시 145수, 소 1편, 서(書) 10편, 설 1편, 기 3편, 제문 1편, 권3은 부록으로 가장·묘지명·묘갈명·묘표·전(傳)·찬(贊)·유서발(遺書跋)·서·사행후(事行後) 각 1편 등이 수록되어 있다.

시는 울분과 강개, 불의에 대한 적개심이 가득 차 있는 한편, 온화하면서도 다감하여 인간다운 면모가 나타나 있다. 「을미동문치령우분유작(乙未冬聞薙令憂憤有作)」은 동방예의지국의 문물이 없어짐과 서양문명의 해로움을 탄식한 것이고, 「을사시월문늑약통음(乙巳十月聞勒約痛吟)」과 「문민보국영환순국(聞閔輔國泳煥殉國)」은 나라가 망하는 것을 개탄하고 민영환의 뒤를 따라 자기도 순절할 뜻을 적은 것이다.

「을사의소(乙巳擬疏)」에서는 나라에 힘이 없어서 외국의 간섭을 받는 것을 통분해하면서, 제도를 바꾸는 데 외국의 것을 모방하지 말고 옛날 제도를 시정해서 써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상면암선생(上勉菴先生)」은 최익현(崔益鉉)에게 올린 글로, 나라의 형세가 기울어져 가는데 그것을 바로잡는 길은 영재를 길러서 나라의 장래를 바로잡는 것뿐이라고 하였다. 또, 통감(統監)의 기만정책을 꾸짖는 「여통감부서(與統監府書)」와 두류산을 구경하고 쓴 「유두류산기(遊頭流山記)」 등이 있다.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