녹천유고 ()

목차
관련 정보
녹천유고
녹천유고
유교
문헌
조선 후기부터 대한제국기까지 생존한 의병장, 고광순의 서(書) · 격문 · 애사 · 제문 등을 수록한 문집.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조선 후기부터 대한제국기까지 생존한 의병장, 고광순의 서(書) · 격문 · 애사 · 제문 등을 수록한 문집.
내용

2권 1책. 석인본. 1974년 그의 손자인 영준(永俊)·광수(光秀) 등이 편집, 간행하였다. 권두에 김윤동(金潤東)·조경한(趙擎韓)·이가원(李家源) 등의 서문이 있고, 권말에 안종선(安鍾宣)·고윤주(高允柱)·유겸중(柳謙重) 등의 발문이 있다. 연세대학교 도서관 등에 있다.

권1에 소 1편, 서(書) 7편, 격문 5편, 권2에 애사 17편, 제문 9편, 행장 1편, 전(傳) 4편, 묘갈명 7편, 묘지명 1편, 순절비문 1편, 포의사상량문(褒義祠上樑文) 1편 등이 수록되어 있다.

「병신소(丙申疏)」에서는 병인양요 이후 각 도에 세운 척화비(斥和碑)를 넘어뜨리는 사례, 도성 안에 다른 나라 사람들이 버젓이 자리 잡고 있는 일, 민비시해사건(閔妃弑害事件) 및 삭발령(削髮令) 등을 신랄하게 비판하고, 나라의 무력함을 통탄하면서 임금의 각성을 촉구하였다.

열읍(列邑)에 보내는 격문에서는 난신적자는 모두 처단할 것, 내정에 간섭하는 왜적을 몰아낼 것, 그리고 민비 시해의 원수를 갚을 것 등을 호소하였다. 그의 우국충정은 이밖에도 장성·광주·담양·창평·순읍 등지에 보낸 통문에 잘 나타나 있다.

관련 미디어 (3)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