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문 ()

송암문집
송암문집
고전시가
인물
조선 전기에, 「독락팔곡」, 「한거십팔곡」, 『송암집』 등을 저술한 문인.
이칭
장중(章仲)
송암(松巖)
인물/전통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1532년(중종 27)
사망 연도
1587년(선조 20)
본관
안동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정의
조선 전기에, 「독락팔곡」, 「한거십팔곡」, 『송암집』 등을 저술한 문인.
개설

본관은 안동(安東). 자는 장중(章仲), 호는 송암(松巖). 안주교수(安州敎授) 권규(權稑)의 주1

생애 및 활동사항

1549년(명종 4) 아버지를 여의고 1561년 30세에 진사시에 주2했으나, 1564년에 어머니상을 당하자 벼슬을 단념하고 청성산(靑城山) 아래에 무민재(無悶齋)를 짓고 그곳에 은거하였다.

이황(李滉)을 스승으로 모셨으며, 같은 문하생인 유성룡(柳成龍) · 김성일(金誠一) 등과 교분이 두터웠고 이들로부터 학행을 높이 평가받았으며, 만년에 덕망이 높아져 찾아오는 문인들이 많았다. 집경전참봉(集慶殿參奉) · 내시교관(內侍敎官) 등에 제수되었으나 나가지 않았다. 56세로 일생을 마쳤으며, 묘지는 안동부 서쪽 마감산(麻甘山)에 있다.

안동의 송암서원(松巖書院)에 제향되었다. 그는 평생을 자연에 묻혀 살았는데, 이황은 그를 소쇄산림지풍(瀟灑山林之風)이 있다고 하였고, 벗 유성룡도 강호고사(江湖高士)라 하였다. 저서로는 『송암집』이 있으며, 작품으로는 경기체가의 변형형식인 「독락팔곡(獨樂八曲)」과 연시조인 「한거십팔곡(閑居十八曲)」이 주3에 전한다.

참고문헌

『송암집(松巖集)』
『가정40년신유8월19일사마방목(嘉靖四十年辛酉八月十九日司馬榜目)』(단국대학교 석주선기념박물관[연민,고 920.051 가359])
『조선시가사강(朝鮮詩歌史綱)』(조윤제, 박문출판사, 1937)
주석
주1

본관 및 가계 : 『가정40년신유8월19일사마방목(嘉靖四十年辛酉八月十九日司馬榜目)』(단국대학교 석주선기념박물관[연민,고 920.051 가359])

주2

진사 급제 : 『가정40년신유8월19일사마방목(嘉靖四十年辛酉八月十九日司馬榜目)』(단국대학교 석주선기념박물관[연민,고 920.051 가359])

주3

권호문의 저술 : 『송암집(松巖集)』(한국고전종합DB)

관련 미디어 (3)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