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성별곡 ()

고전시가
작품
조선 중기에 지어진 작자 미상의 가사.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정의
조선 중기에 지어진 작자 미상의 가사.
구성 및 형식

국한문혼용체. 형식은 3·4조의 정형으로 총 205구로 되어 있으며, 작자는 종래 백광훈(白光勳)으로 알려져왔으나, 최근 선조 때의 학자 백광홍(白光弘)이라는 설이 있다.

내용

이 작품은 「향산별곡(香山別曲)」과 함께 ‘관서별곡’으로 일컬어진다. 이주홍(李周洪)에 의해 발굴되고, 『국어국문학』 제13호(1955)에 소개되었다. 형식이 정연한 사대부가사로서, 단군조선·기자조선·고구려 때의 도읍지인 고도 평양의 역사적 배경과 대동문·조천석·능라도·을밀대·금수봉 등의 명승지를 중국고사를 인용하면서 기술하고 있다.

의의와 평가

국한문혼용으로 쓰여졌으나 한문투가 주류를 이루고 있다. 정철(鄭澈)의 「관동별곡」과 병칭되는 「관서별곡」의 일부 작품으로 본다면, 「관동별곡」보다 진부한 고사의 인용과 정연하지 못한 서술 등으로 다소 격이 낮다고 할 수 있으나, 호사로운 문장이나 풍부한 내용으로 보아 조선시대 가사로서는 높이 평가할만한 작품이다.

참고문헌

『주해가사문학전집(註解歌辭文學全集』(김성배 외 편, 정연사, 1961)
「관서별곡연구(關西別曲硏究)」(이상보, 『국어국문학』 26, 1963)
「관서별곡(關西別曲)」(이주홍, 『국어국문학』 13, 1955)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