귀걸이

목차
관련 정보
경주 부부총 금귀걸이
경주 부부총 금귀걸이
의생활
물품
귓볼에 붙이는 장신구.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귓볼에 붙이는 장신구.
내용

사람의 몸을 치레하기 위한 장신구 중에서 가장 일찍부터 사용된 것으로, 고대 동방의 여러 나라에서는 일종의 부적으로 소중히 여겨져왔다. 중국에서는 전국시대 말에서 한대에 걸쳐 이당(珥璫)이라고 불리는 귀걸이가 성행하였다. 우리 나라에서도 일찍부터 남녀의 구별 없이 애용하여 왔던 것이다.

삼국시대의 고분에서 금관·대금구 등과 함께 상당히 많이 출토되고 있다. 이러한 출토물을 통하여 볼 때 우리 나라의 귀걸이는 그 제작 기술이 우수하며, 형태]제작기법에서 시대적 특징을 잘 나타내고 있다.

삼국시대의 귀걸이에는 한 개의 고리만으로 이루어진 소환식 이식(素環式耳飾)과 가는 고리에 자그마한 고리가 달린 것, 수식부 이식(垂飾附耳飾)의 세 종류가 있다.

이 가운데 가장 발달되고 화려한 귀걸이는 수식부 이식으로서, 귓불에 직접 다는 고리[主環]와 거기에 매달리는 중간식(中間飾), 그리고 최하단을 장식하는 수하식(垂下飾)의 세 부분으로 구성되어 있다.

수식부 이식은 다시 주환의 굵기에 따라 태환식 이식(太環式耳飾)과 세환식 이식(細環式耳飾)으로 구분된다. 태환은 대부분 속이 비어 있는 중공환(中空環)이고, 세환은 대부분이 속이 차 있는 중실환(中實環)이다. 이러한 수식부 이식은 중간식과 수하식의 형태 변화가 심하여 이 시대의 다른 나라의 것보다 화려하다.

주환과 유환으로 구성된 이환부(耳環部)의 형태에는 별다른 변화가 없으나, 중간식에 있어서는 작은 고리를 이어 붙여 만든 화롱형 투작구체(花籠形透作球體)의 것, 화롱형 투작구체의 기법으로 제작한 반구체(半球體)를 아래위로 연결한 것 등이 있다.

화롱형 투작구체와 반구체를 아래위로 연결하고 화롱형 투작구체의 복부에서 꼰 줄이 방사형으로 돌출한 끝에 심엽형 영락을 달아맨 것, 작은 고리를 입방체로 이어붙인 것, 작은 고리를 조롱형(鳥籠形)으로 이어 붙인 것 등이 있다.

중앙의 원통부를 사이에 두고 아래위로 주산알 모양의 것을 연결한 것, 금속제의 공옥(空玉)을 연주형으로 달아맨 것, 중공의 계란모양 또는 공모양의 표면에 작은 원통을 여러 개 붙인 것 등 다양하다.

수하식에 있어서도 세로로 긴 심엽형 1매의 것, 1매의 심엽형판의 앞]뒷면에 작은 1매의 심엽형 판을 첨식한 것, 타원형에 가까운 심엽형 판의 앞·뒷면에 작은 1매의 원판을 첨식한 것, 원추형의 것, 역사각추형(逆四角錐形)의 것, 금속판을 잘게 오려서 비비틀리게 꼬아 만든 술 모양의 것, 초실형의 것 등이 있다.

삼국시대에는 이러한 귀걸이의 재료로 금을 비롯하여 은·금동·청동 등이 쓰였는데 금이 가장 많이 쓰였다.

고려시대의 귀걸이는 매우 희귀한 편인데, 현재 남아 있는 순금제 귀걸이는 길이가 3. 3㎝이고 구형 소주(球形小珠) 3개로 연결한 것과 길이 5. 4㎝이고 구형 소주가 수식인 것이 있다. 조선시대에는 유교적인 생활양식을 추구하게 되어 귀걸이를 다는 습속은 성행하지 못하였다.

귀걸이를 다는 풍습은 오랑캐의 풍습이라 하여 귀걸이 사용을 강하게 비난하였을 뿐만 아니라 그 사용을 금지하게 하였다.

특히, 선조는 귀걸이를 즐기는 풍습이 전국에 아직도 남아 있다는 풍문에 접하고, 1572년 9월에 “신체발부(身體髮膚)는 이를 부모로부터 받았으며, 감히 훼상하지 않음이 효의 시초라 하였다. 우리 대소남아는 반드시 귀를 뚫고 환이(環珥)를 만들어 걸고 있어 중국의 나무람을 받고 있다. 지금으로부터 중외에 효유(曉諭)하여 호습(胡習)을 통혁(痛革)하라.”는 내용의 전교를 내렸다. 이에 귀를 훼상시키지 않고 걸기만 하면 되는 것으로 개발한 것이 파란 귀걸이였다.

이 선조의 유시 후 남자의 이식은 볼 수 없게 되었으며, 또한 여자에 있어서도 고리 아닌 걸이의 형태가 자연히 커져 불편해서인지 평상시에 이식하는 습속은 사라지고, 혼례 등 의식 때에만 사용하게 되었다. 현존 유물에서 이를 보면 큰 걸이 밑에 나름대로의 장식물이 달려 있기는 하나 그 형태가 고대 유물에서와 같이 다양한 것이 못되고 대부분이 단조롭다.

다만, 장식물의 단조로움을 보완하기 위하여 장식물 밑에 오색의 술을 달기도 하였다. 요즈음은 재료나 형태가 다양하여져서 귀금속 이외에 인조보석·플라스틱·뿔 등 다양한 재료가 쓰이고 있다.

형태도 귀에 붙이는 것, 달아서 흔들리게 하는 것, 기하학적인 도형을 본뜬 것 등 다양하다. 이러한 귀걸이는 예복뿐만 아니라 평상복 등에도 사용하여 자신의 개성을 살리고 있다.

참고문헌

『오주연문장전산고』
『한국장신구미술연구』(황호근, 일지사, 1976)
「장신구」(김기웅, 『비교한국문화』, 삼성출판사, 1980)
집필자
김기웅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