극락사지 석조 여래 입상 ( )

목차
관련 정보
함양 극락사지 석조여래입상
함양 극락사지 석조여래입상
조각
유물
국가유산
경상남도 함양군 서상면에 있는 고려시대의 석불입상.
시도문화유산
지정 명칭
함양 극락사지 석조여래입상(極樂寺址石造如來立像)
분류
유물/불교조각/석조/불상
지정기관
경상남도
종목
경상남도 시도유형문화유산(1972년 02월 12일 지정)
소재지
경상남도 함양군 서상면 옥산리 377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경상남도 함양군 서상면에 있는 고려시대의 석불입상.
내용

석불입상은 인근 텃밭에서 발견되어 현재의 장소로 옮겨왔다. 『동국여지승람(東國輿地勝覽)』에 따르면 원래 있었던 곳에 극락사라는 절이 있었다고 한다.

불상은 소발(素髮)의 머리에 둥글고 높은 육계가 솟아있다. 얼굴은 비교적 큰 편으로 방형에 가까운 윤곽에다 목이 굵어서 다소 둔중한 느낌을 준다. 이목구비는 마모가 심해 상세히 알아보기 어렵다. 최근에 코 부분만 시멘트로 복원하여 오뚝하게 솟아있는데, 안면 부위가 매우 평평하게 처리된 것으로 보아 원래부터 이목구비가 많이 강조되지 않은 다소 추상적인 형태의 얼굴이 아니었을까 추정된다. 어깨는 좁은 편인데 양쪽에 가사를 걸친 통견(通肩)의 착의를 하고 있다. 가슴은 반원형으로 드러나 있으며 ‘U’자형 옷깃이 양어깨 사이를 흐르고 있다. 그리고 그 아래로 반복적인 ‘U’자형 옷 주름이 발등 위에까지 흘러내리고 있다. 이들 옷 주름은 간격이 비교적 규칙적으로 설정되었지만, 휘어진 정도에 미묘한 변화를 주어서 인체의 양감을 간접적으로 드러내고 있다. 이러한 옷 주름은 흔히 아육왕상식으로 알려져 있으나, 아육왕상식 불상들이 인체의 굴곡을 적극적으로 표현하지 않는 것에 반해 여기서는 옷 주름을 인체에 밀착시켰다. 양팔도 옷에 밀착되어 감겨 있는데, 두 팔 모두 아래로 내려뜨리고 있어 통상적인 시무외(施無畏) · 여원인(與願印)의 수인(手印)과는 구별된다. 그러나 왼팔 끝부분의 흔적을 보면 아마도 두 손은 구멍을 뚫어 별도로 삽입했던 것으로 보이는데 현재는 사라져 수인을 정확히 파악할 수 없다. 대좌 위에는 위에서 흘러내린 가사 자락 아래로 살짝 드러난 발끝을 표현하였다. 불상과 하나의 돌로 만들어진 대좌는 네모난 형태인데, 중첩된 앙련의 상대석과 중대석이 남아 있는 것으로 보이며 그 아래의 지대석이 원래의 것인지는 알 수 없다. 목과 무릎 부분에는 절단되었던 것을 접합한 흔적이 보인다. 광배는 전하지 않는다.

의의와 평가

극락사지 석조여래입상은 통일신라 불상의 전통을 계승하고 있으면서도 지방적 특색으로 인해 단순하면서 추상적인 형태로 변화하였다. 이 상과 비교될 수 있는 고려시대 불상으로는 안성 죽산리 석불입상을 꼽을 수 있는데, 이 상들에서 통일신라시대 불상 양식이 많이 반영되어 있다.

참고문헌

『석불』(진홍섭, 대원사, 1997)
집필자
주수완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