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동 보살 반가상 ( )

목차
조각
유물
충청남도 공주시 부근에서 출토한 것으로 전해지는 삼국시대의 반가사유상.
목차
정의
충청남도 공주시 부근에서 출토한 것으로 전해지는 삼국시대의 반가사유상.
내용

일본 동경국립박물관(東京國立博物館) 오쿠라(小倉) 콜렉션 소장. 높이 16.3cm.

일제 강점기에 일본인의 손에 건너간 것으로 보인다. 일본인들이 이 불상을 소개할 때 공주 부근에서 출토되었다고 말하는 것으로 보아 백제에서 제작되었음을 알 수 있는 불상이다.

보관의 중앙에 반 타원형을 중심으로 상부와 좌우에는 꽃잎 장식이 보이며 2줄의 보관대(寶冠帶)를 뒷부분의 양쪽에서 돌기로 마무리하였다.

옆머리에서 내려진 보발(寶髮)은 어깨에서 원 장식으로 묶은 뒤 세 가닥으로 나뉘어 팔 윗부분을 덮고 있다. 이러한 보관 형식은 금동미륵보살반가사유상(국보, 1962-1 지정)의 것과 유사하다.

얼굴은 고개를 약간 숙이고 눈은 약간 뜨고 웃는 모습이 매우 부드럽고 온화하다. 목에는 단순한 목걸이가 굵게 묘사되었고, 위팔과 손목 역시 같은 모양의 단순한 팔찌를 끼고 있다.

하체는 두터운 의습(衣褶 : 옷주름)이 질서 있게 3줄씩 표현되어 있어 안정적이다. 즉, 반가한 오른쪽 다리 부분의 옷주름은 3줄의 음각선을 종으로 분명하게 표현하였다. 그 밑은 옷주름은 양각선으로 두툼하게 3줄을 횡으로 표현하여, 의도적으로 표현하였음을 알 수 있다.

발목 부분에 옷 끝이 한 번 굵게 접힌 것도 특이한 예에 속한다. 또한 오른쪽 무릎 아래 부분은 흔히 약간 위로 뻗어 대좌보다 돌출된 것에 비하여 이 상의 오른쪽 무릎 아래 부분은 대좌에 내려진 치마 부분을 감싸고 있어 오른쪽 무릎이 매우 두터워 보인다.

이 상의 뒷면의 옷주름 역시 깊고 두텁게 조각하였는데 돈좌(墩座)에 표현된 주름과 변화와 조화를 이루고 있어 본상을 완전한 원각상으로 조각하려는 의도를 보이고 있다.

또 허리 양쪽에서 내려뜨린 띠 장식은 돈좌 바로 위에서 한 번 돌려 다시 내려뜨렸다. 이 내림 띠 장식은 양쪽이 각각 다른 모양으로 대조를 이루며 매우 두텁게 조각되어 공간감을 보여 주고 있다.

공주 부근에서 출토된 이 반가사유상은 아주 작은 소형이지만 완전한 원각상으로로 의지를 보여 주고 있는 상이다. 보관과 보발은 금동미륵보살반가사유상(국보, 1962-1 지정)과 친연성을 느낄 수 있으나 좀더 입체적인 선 처리라든가 원각으로의 강한 의지는 83호 금동미륵반가사유상으로의 조형성에 접근하고 있다.

더군다나 소상으로서 얼굴의 구조와 옷주름의 과감한 표현은 이전의 소상들이 편평하고, 경직되어 나타난 점을 과감히 극복하고 있어 조형성에 있어 세련미를 느낄 수 있다.

이 반가사유상은 출토지가 불분명한 우리 나라 금동반가사유상 가운데 출토지가 백제 지역이었다는 점에 큰 의의가 있다. 이전의 경직성을 탈피한 점에서 7세기 전후의 작으로 볼 수 있을 것이다.

참고문헌

「전 공주출토금동사유상」(강우방, 『원융과 조화』, 열화당, 1990)
집필자
김영애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