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동 탄생불 입상 ( )

목차
관련 정보
금동탄생불입상
금동탄생불입상
조각
유물
국가유산
서울특별시 관악구 신림동에 위치한 호림박물관 소장의 삼국시대 금동탄생불입상.
국가문화유산
지정 명칭
금동탄생불입상(金銅誕生佛立像)
분류
유물/불교조각/금속조/불상
지정기관
국가유산청
종목
보물(1984년 12월 07일 지정)
소재지
서울 관악구 남부순환로152길 53, 호림박물관 (신림동,호림박물관)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서울특별시 관악구 신림동에 위치한 호림박물관 소장의 삼국시대 금동탄생불입상.
개설

1984년 보물로 지정되었다. 금동탄생불입상은 오른손은 하늘을 가리키고 왼손은 내려서 땅을 가리키며 대좌 위에 곧은 자세로 서 있는 아기부처이다. 탄생불은 석가모니가 태어나자 일곱 걸음을 걸은 후 오른손을 들어서 하늘을 가르키고 왼손은 내려서 땅을 가리키며 ‘천상천하 유아독존(天上天下 唯我獨尊)’을 외쳐 인간의 존엄성을 설파했다는 석가 탄생의 모습을 형상화한 것이다. 석가탄신일인 사월 초파일에 욕불의식(浴佛儀式)인 관불회(灌佛會)의 관불(灌佛)로 많이 제작되었다.

내용

이 금동탄생불상은 오른손의 엄지와 검지는 훼손되었지만 불전의 내용에 정확하게 부합하는 손 모습을 취하고 있다. 신체에 비해 비교적 큰 얼굴과 미소를 띤 천진한 표정 그리고 단구의 신체는 마치 아기의 모습을 띠고 있으며 굴곡진 가슴과 배, 유난히 긴 팔 등이 특징이다. 윗몸은 나체이고 아랫 배 밑으로 무릎까지 오는 치마를 입었다. 치마는 좌우가 마치 물고기 지느러미처럼 뻗친 형상에 늘어진 치마 끝단을 맞잡아 대칭을 이루는데, 이는 허리에 묶어진 띠 매듭을 새끼줄 모양으로 길게 늘어뜨린 형상과 더불어 장식성을 극대화시키고 있다. 이는 다른 탄생불에는 보이지 않는 독특한 모습이어서 주목된다. 대좌는 작은 원형의 연화좌이며, 그 밑을 연화좌와 사각 대좌가 받치고 있는 구조이다. 즉 발과 연결되는 지점에 원형의 작은 연화대좌가 있는데 이는 원래의 것으로 판단된다. 그 밑에 있는 별도의 연화좌는 사각의 책상형 대좌와 연결되어 있는데 밑면에 꼭지가 있어 이를 통해 서로 연결한 것으로 보인다. 이 대좌는 후대에 만들어진 것으로 생각된다. 머리 뒤에는 광배 꼭지가 남아 있어 원래는 광배가 있었음을 알 수 있다.

이 탄생불입상은 어린아이 같은 천진한 얼굴 표정과 섬세한 사실성이 돋보이며, 단구의 신체비례, 양측으로 뻗친 치마 자락, 치마 끝단의 맞잡은 대칭 주름 등에서 삼국시대의 작품으로 추정된다. 전체적으로 보존 상태가 좋고 조형미도 뛰어나 우리나라 탄생불 가운데 유일하게 지정문화재(현, 지정유산)로 등록된 귀중한 작품이다.

참고문헌

『금동불』(곽동석, 예경, 2000)
「탄생불소고-경북대학교 박물관 소장의 두 작품과 대마도에서 발견된 작품들을 중심으로」(권희경, 『경북대학교 논문집』31, 경북대학교, 1981)
관련 미디어 (1)
집필자
정은우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