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령 반룡사 목조 비로자나삼존불 좌상 ( )

목차
관련 정보
고령 반룡사 목조비로자나삼존불좌상
고령 반룡사 목조비로자나삼존불좌상
조각
유물
문화재
경상북도 고령군 쌍림면 반룡사 대적광전에 봉안되어 있는 1642년(인조 20)에 제작된 목조비로자나삼존불좌상.
정의
경상북도 고령군 쌍림면 반룡사 대적광전에 봉안되어 있는 1642년(인조 20)에 제작된 목조비로자나삼존불좌상.
개설

2011년 경상북도 유형문화재로 지정되었다. 비로자나불은 높이 144㎝인 중대형으로, 좌협시보살상 내부에서 발견된 조성기를 통해 1642년에 수화승 혜희(慧熙)를 비롯한 상민(尙敏), 계학(戒學), 법균(法均), 조능(祖能), 지화(智和) 등의 조각승이 참여하였음이 확인된다.

내용

목조비로자나삼존불좌상은 비로자나불을 중심으로 좌우에 보살상이 협시하고 있는 삼존상이다. 비로자나불은 높이 144㎝, 협시보살은 높이 123.5㎝의 중대형 불상으로, 균형 잡힌 신체 비례, 턱이 뾰족한 방형의 얼굴, 힘이 넘치는 사실적인 옷주름 표현 등이 특징이다. 얼굴은 턱이 뾰족한 각이 진 얼굴형에 긴 눈, 오똑한 코, 다부진 입매 등으로 위엄있는 굳은 표정이다. 전형적인 17세기 불상의 변형통견식 대의 착의법에 옷주름은 사실적이고도 양감있게 조각되었는데 왼쪽 무릎을 덮은 대의 끝자락은 폭이 넓은 나뭇잎형으로 굴곡지게 표현되었다. 이러한 사실적인 조각술은 불상 재료가 나무이지만 무릎 부분에는 흙을 덧대어 성형한 소조기법의 활용에서 기인한다. 삼존상은 얼굴, 착의법 등이 거의 유사하게 표현되었다. 비로자나불상은 지권인을 취한 반면 좌우 보살상은 한 손은 가슴 부위에 다른 손은 무릎에 놓아 엄지와 검지를 구부린 채 손 위치는 서로 반대로 하고 있다. 보살상은 화려한 보관을 쓰고 어깨에는 긴 보발을 구불거리게 늘어뜨렸다. 17세기 조각의 시대적 특징을 따르면서도 균형미와 사실성, 부드러움과 힘이 공존하는 혜희만의 독창적인 조각적 특징이 반영된 불상이다.

조각승 혜희는 1640년(인조 18) 익산 숭림사 안심당 목조여래좌상 제작에 법영(法靈)의 보조화원으로 처음 등장하여 1642년(인조 20)에 제작된 고령 반룡사 목조비로자나삼존불좌상부터 수화승으로 활동하였다. 이후 1650년(효종 1)경의 공주 갑사 보장각 목조석가여래좌상, 1655년(효종 6) 보은 법주사 원통보전 목조관음보살좌상, 1662년(현종 3) 순천 송광사 목조관음보살좌상, 1677년(숙종 3) 전주 일출암 목조약사여래좌상과 부산 금정사 목조아미타여래좌상 등을 제작했다.

의의와 평가

17세기 중반에 활동한 혜희에 의해 제작된 고령 반룡사 목조비로자나삼존불좌상은 균형미와 자연스러우면서 힘 있는 조각술이 돋보이는 작품으로 주목된다. 목조불이지만 양감이 필요한 부분에 흙을 덧붙여 양감과 입체감을 표현하였다. 혜희가 수화승으로 제작한 첫 작품으로 혜희의 초기 작풍을 이해하는데 중요하며 주로 충청도와 전라도 지역에서 활동했던 혜희가 경상도지역에서 유일하게 조형한 작품이라는 점도 이례적이다. 반룡사 목조비로자나삼존불좌상 17세기 전반기 대표적 조각승인 혜희의 사승관계와 조형감각을 파악할 수 있는 미술사적 가치가 높은 작품이다.

참고문헌

『조선후기 불교조각 발원문선집』Ⅰ(최선일,양사재,2018)
『조선후기승장인명사전』불교조소(최선일,양사재,2007)
「송광사 관음전 목조관음보살좌상 연구」(정은우,『순천 송광사 관음보살좌상 복장물』,동아대학교박물관,2012)
「고성 반룡사 비로자나삼존불좌상」(임남수·김준영·배영진·윤선영·최강국,『민족문화논총』46,민족문화연구소,2010)
「17세기 조각가 혜희와 불상의 특징」(정은우,『항산 안휘준 교수 정년퇴임 기념 논문집-미술사의 정립과 확산』2권,사회평론,2006)
관련 미디어 (1)
집필자
정은우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