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마총 관모 ( )

천마총 관모
천마총 관모
공예
유물
국가유산
천마총에서 발견된 신라시대 금제 관모.
국가문화유산
지정 명칭
천마총 관모(天馬塚 冠帽)
분류
유물/생활공예/금속공예/장신구
지정기관
국가유산청
종목
국보(1978년 12월 07일 지정)
소재지
경북 경주시 일정로 186, 국립경주박물관 (인왕동,국립경주박물관)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내용 요약

천마총 관모는 천마총에서 발견된 신라 시대 금제 관모이다. 1978년 국보로 지정되었다. 다양한 무늬를 새긴 여러 개의 금판을 앞뒤로 이어 붙여 제작한 것이다. 전체적으로 다채로운 문양과 함께 안쪽에서 바깥쪽으로 정을 두드려 작은 점들이 찍혀 있다. 이는 마치 작은 금알갱이를 붙인 듯한 화려함을 더해준다. 관모 형태는 고구려와 백제, 신라 모두가 쓰는 삼국의 기본적인 형태이다. 천마총 관모는 신라 관모 중에서는 최고의 작품으로 평가된다. 또한 6세기 전반경으로 편년되어 있어 신라 관모의 발전 과정을 보여 준다.

정의
천마총에서 발견된 신라시대 금제 관모.
개설

1978년 국보로 지정되었다. 1973년 조사된 천마총은 대형 돌무지덧널무덤으로, 천마총 관모 이외에도 금관, 관장식, 허리띠, 귀걸이 등 다양한 금제 장신구류와 말갖춤류, 무기류, 토기, 유리배, 각종 구슬 및 자루솥, 다리미, 솥과 같은 일상용기들이 함께 출토되었다.

구성 및 형식

천마총 금제 관모는 다양한 무늬를 새긴 여러 개의 금판을 앞, 뒤로 이어 붙여 제작한 것이다. 먼저 C자, 작은 원을 투공해 장식한 넓은 면을 양 측면에 두고 그 밖으로 T자와 작은 원을 투공해 만든 넓고 좁은 두 개의 판을 앞, 뒤로 박아 고정했는데 높이가 서로 다르다. 뒷면에는 T자형 판 위로 용문을 투각해 만든 판을 한 장 더 덧대었는데 그 판 상단에는 긴 타원형의 공간이 뚫려 있다. 그 주변은 집선문을 안쪽에서 바깥쪽으로 새겨 입체감 있게 마무리했는데 그 위에 볼록한 금판을 덧대어 막았다. 한편 앞면에 있는 T자형 판은 방형으로 구멍을 내었는데 격자문의 금판으로 덧대어 못으로 박았다. 상단에는 좁은 금판으로 두 개의 판을 감쌌으며 하단에는 좀 더 넓은 판을 덧대어 마무리하였다. 전체적으로 다채로운 문양과 함께 안쪽에서 바깥쪽으로 을 두드려 작은 점들이 찍혀져 있어 마치 작은 금알갱이를 붙인 듯 화려한 효과를 냈다. 하단에는 작은 구멍이 쌍을 이뤄 여러 개 뚫려 있는데 착용을 위한 용도로 보인다.

내용

천마총에서는 새가 두 날개를 활짝 펴고 힘차게 날고 있는 형태의 관식이 관모와 함께 출토되었는데 전체적으로 관모의 제작기법과 유사하다. 관식 끝부분의 단면을 살펴보면 ∧로 살짝 꺾여 있어 관모의 격자무늬 금판 앞에 꽂아 사용했을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신라의 관모와 새 날개형의 관식에 관해서는 고구려백제에 관한 문헌자료가 참고가 된다. 고구려 경우 『한원(翰苑)』을 비롯한 『주서(周書)』, 『구당서(舊唐書)』 등에서 평민이 아닌 벼슬있는 사람은 두 개의 새 깃을 가삽(加揷)하고 금은으로 장식하였다는 기사를 찾을 수 있어 이 관이 품계를 나타내는데 사용된 것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은 관모는 변형모(弁形帽) 혹은 절풍모(折風帽)라고 부르며, 고구려와 백제, 신라 모두가 쓰는 삼국의 기본적인 관모의 형태였으며 중국과는 다른 형식이다. 원래 관모는 가죽으로 만든 것에서 시작해 점차 비단을 덧입힌 것, 금은 장식을 더했던 것으로 보인다. 황남대총에서 출토된 금동제 관모에서는 실제 조익형 관식이 꽂힌 채 발견되기도 하였고 양산 부부총, 달서 37호 고분, 황오동 100번지 고분 등에서 백화수피제로 만든 관모에 가삽된 경우도 발견되었다.

의의와 평가

천마총 관모 는 여러 가지의 무늬를 화려하고 정교하게 맞새김해 제작한 것으로 신라 관모 중에서는 최고의 작품으로 평가된다. 또한 6세기 전반경으로 편년되어 5세기의 황남대총 남분과 금관총에서 발견된 관모보다 훨씬 더 발전된 형태로서 금색도 더 좋아 신라 관모의 발전 과정을 보여준다.

참고문헌

『KOREAN ART BOOK 공예Ⅰ고분미술』(이한상, 예경, 2006)
『신라 금속공예 연구』(이송란, 일지사, 2004)
『신라고분연구』(최병현, 일지사, 1992)
『국보』 1-고분금속-(한병삼 편, 예경산업사, 1983)
『천마총』(문화재관리국, 1974)
「백제 무령왕과 왕비 관의 복원시론과 도상」(이송란, 『무령왕릉 ; 출토 유물 보고서』Ⅱ, 국립공주박물관, 2007)
「고대 관의 분류체계에 대한 고찰」(함순섭, 『고대연구』8, 고대연구회, 2001)
관련 미디어 (1)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