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관은 상주(尙州). 자는 계숙(啓叔). 김사원(金士元)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김응무(金應武)이며, 아버지는 우의정 김귀영(金貴榮)이다.
처음에는 무반으로 출사하여 어모장군(禦侮將軍)이 되었다가 1610년(광해군 2) 알성문과에 갑과로 주1하였다. 1614년 예조참의, 이듬해 동부승지 · 우부승지 등을 거쳐, 1617년 좌윤에 올랐다.
1614년에는 전주 경기전(慶基殿)의 중건작업에 참여하였으며, 1615년에는 문신정시(文臣庭試)에서 높은 성적으로 상을 주2 허균(許筠)의 심복으로서, 1617년에는 인목대비(仁穆大妃)의 폐비를 앞장서서 주장하고, 그 여론을 일으키는 공작을 담당하였다.
1618년 허균이 역모의 혐의를 받고 처형당할 때 심문을 받다 장살(杖殺)되었다. 1678년(숙종 4) 결정적인 단서 없이 죽었다는 김석주(金錫胄)의 주장에 의하여 신원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