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련 ()

고려시대사
인물
고려 후기에, 추밀원사, 지문하성사, 참지정사 등을 역임한 문신.
인물/전통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미상
사망 연도
1278년(충렬왕 4)
본관
화평(化平)
주요 관직
추밀원사|지문하성사|참지정사
정의
고려 후기에, 추밀원사, 지문하성사, 참지정사 등을 역임한 문신.
개설

본관은 화평(化平). 아들은 찬성사(贊成事)를 지낸 김지숙(金之淑)이다.

생애 및 활동사항

1269년(원종 10)에 추밀원부사(樞密院副使)가 되었고, 1271년 정월에는 추밀원사(樞密院使)로서 국혼을 청원하는 표문(表文)을 올리기 위하여 원나라에 사신으로 갔다가 같은 해 3월에 귀국하였다.

그 뒤 지문하성사(知門下省事)를 거쳐, 1274년(충렬왕 즉위년)에는 참지정사(參知政事)가 되었다. 김련(金鍊)은 일에 임해서 과단성은 없었으나, 풍의(風儀)가 아름답고 행동이 법도에 어긋나지 않았으므로 장자(長者)라 칭송받았다고 한다.

참고문헌

『고려사(高麗史)』
『고려사절요(高麗史節要)』
집필자
김재명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누구나 자유로이 이용 가능하며,
    항목 내용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