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세록 ()

목차
회화
인물
조선후기 「신죽」 · 「통죽」 · 「죽보」 등의 작품을 그린 화가.
이칭
이칭
위빈(渭濱), 위천(渭川)
인물/전통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1601년(선조 34)
사망 연도
1689년(숙종 15)
본관
강릉(江陵)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조선후기 「신죽」 · 「통죽」 · 「죽보」 등의 작품을 그린 화가.
개설

본관은 강릉(江陵), 호는 위빈(渭濱), 위천(渭川). 부친은 형조정랑을 지낸 김상적(金尙績)이고, 묵죽화로 유명한 이정(李霆)이 그의 외조부이다. 강릉에서 활동하였다.

활동사항

김세록은 17세기에 활동한 사대부 출신의 묵죽 화가로서, 외조부인 이정에게 대나무 그림을 배워 그와 방불하게 그렸다. 특히 묵죽의 포치와 세부 묘사에서 이정의 영향이 뚜렷하지만, 구도가 다소 느슨하고 긴장감이 떨어지며 섬약한 느낌을 주어 수준이 그에 미치지는 못하였다. 흑지(黑紙)에 황색의 송화(松花)로 그린 묵죽화 또한 흑견(黑絹) 바탕에 금니(金泥)로 그린 이정의 이금(泥金) 묵죽화를 추종한 것이다. 이는 선조 연간 종실 화가로서 왕실의 고급 문화를 향유하였던 이정과는 다른 환경 속에서 제작된 것으로, 17세기 사대부층으로 확산된 이금화의 전통을 대변한다.

참고문헌

『연려실기술별집(燃藜室記述別集)』
『동국문헌(東國文獻)』
『근역서화징』(오세창, 계명구락부, 1928)
『조선의 묵죽』(백인산, 대원사, 2007)
「조선 중기 이금화 연구」(오다연,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9)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