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제안 ()

고려시대사
인물
고려 후기에, 군부좌랑, 내서사인, 전교부령 등을 역임한 문신.
이칭
중현(仲顯)
인물/전통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미상
사망 연도
1368년(공민왕 17)
본관
안동(安東)
주요 관직
군부좌랑|내서사인|전교부령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정의
고려 후기에, 군부좌랑, 내서사인, 전교부령 등을 역임한 문신.
개설

본관은 안동(安東). 자는 중현(仲賢). 김방경(金方慶)의 증손으로, 아버지는 평장사(平章事)를 지낸 상락군(上洛君) 김묘(金昴)이며, 성균직강(成均直講)을 지낸 김구용(金九容)의 아우이다.

생애 및 활동사항

과거에 급제해 정몽주(鄭夢周)·이숭인(李崇仁)·정도전(鄭道傳)·이존오(李存吾) 등과 친분이 두터웠다. 1364년(공민왕 13)에 좌정언(左正言)이 되었는데 내수(內竪) 한휘(韓暉)와 이구수(李龜壽)가 변방의 공으로 자급을 뛰어넘어 첨의평리(僉議評理)에 발탁되자 기밀을 마음대로 하고 총행이 지나치므로 고신(告身: 辭令書)에 서명하지 않았다는 의심을 받았다.

이 일로 두 사람이 참소해 하옥되려다가 밀직부사 김달상(金達祥) 등이 간관을 하옥하면 훗날 모든 허물이 왕에게 돌아갈 것이며, 고신에 서명하지 않은 것이 죄가 될 것이 없다고 만류해 모면하였다. 그러나 병을 핑계로 나오지 않으므로 왕이 강제로 고신에 서명하게 한 뒤 파면하였다.

공민왕이 반원개혁정치를 하고자 하여, 1366년 하남왕(河南王)에게 전녹생(田祿生)을 사신으로 보낼 때 군부좌랑(軍簿佐郎)으로 서장관이 되어 수행하였다. 연경에 이르렀을 때 하남왕과의 수교를 싫어한 원나라의 태자가 귀환하라는 명령을 내리자 전녹생을 되돌려보낸 후 병을 핑계로 연경에 머물고 있다가 틈을 보아 홀로 하남에 가서 국서를 전달하였다.

이 공으로 하남왕의 상주에 의해 중서병부낭중 첨서하남강북등처행추밀원사(中書兵部郎中簽書河南江北等處行樞密院事)가 되었다. 이어 하남왕의 보빙사(報聘使) 곽영석(郭永錫)과 함께 돌아오자 공민왕은 그 노고를 치하해 대언에 임명하려 하였으나, 신돈(辛旽)이 자기를 찾아오지 않음을 불쾌히 여겨 반대한 까닭에 내서사인이 되었고, 이어서 전교부령(典校副令)으로 좌천되었다.

그 뒤 전 밀직부사 김정(金精) 등과 더불어 신돈을 죽이려고 모의하다가 전 홍주목사 정휘(鄭暉)의 고발로 인해 기밀이 누설되어 왕명으로 순군옥(巡軍獄)에 갇히어 국문을 받고 귀양가던 도중에 신돈이 보낸 사람에 의해 죽임을 당하였다.

참고문헌

『고려사(高麗史)』
『고려사절요(高麗史節要)』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