끌개

목차
관련 정보
끙게
끙게
산업
물품
씨를 뿌리기 전후에 흙을 부수거나 고르는 데 쓰는 연장.
목차
정의
씨를 뿌리기 전후에 흙을 부수거나 고르는 데 쓰는 연장.
내용

≪농사직설 農事直說≫에는 ‘예로(曳撈, 鄕名 끌개[曳介])’로 표기되어 있으며, ≪과농소초 課農小抄≫에는 ‘달(撻)’로, ≪해동농서 海東農書≫에는 ‘ᄭᅳ으ᄅᆡ’로 기록되어 있다. 충청남도 서산에서는 ‘끄승개’라고 한다.

끌개의 형태나 이것을 만드는 재료는 여러 가지이다. 가장 흔한 것은 솔가지나 댑싸리를 사람이 올라앉거나 돌을 실을 수 있도록 두툼하게 묶고, 거기에 손잡이를 붙인 것이다. 『과농소초』의 ‘달’이나 『산림경제』의 ‘사립번지[柴扉飜地]’는 이를 가리킨다.

요사이는 단지 가마니 위에 어린이가 앉거나 돌을 싣고 끌고 다니기도 한다. 이것을 밭에서 끌면 덩어리진 흙이 부서진다. 경상남도 영산에서는 귀목과 같이 무거운 나무토막 양쪽에 자루를 박고 여기에 끈을 매어 쓰며, 덩어리진 흙을 부수기 위해서는 둥근 나무토막에 쇠못을 촘촘히 박은 것 두 개를 이어 붙이고 사람이 앉을 수 있도록 널빤지를 깐 것을 끌고 다닌다.

경상남도 진양에서는 써레를 이빨이 위쪽으로 향하도록 젖혀 놓고 끄는데, 아이들은 써레 이빨을 쥐고 앉는다. ≪농사직설≫에서의 ‘목작배(木斫背)’는 이것을 가리키는 것으로 추정된다. 또 경상남도의 거제도에서는 이빨을 뽑아 낸 써레를 끌개로 대신 쓴다. 이때에는 사람이 손으로 써레 몸체를 힘주어 눌러서 흙덩이를 잘게 부순다. 현지에서는 이를 ‘마른 써레’라고 한다.

그 밖에, 둥글거나 모난 나무 10여 개(길이 50∼80㎝)를 나란히 묶어 사람이 올라앉고 소가 끄는 것도 있는데, ≪농사직설≫의 ‘박시목양삼개(縛柴木兩參箇)’나 ≪산림경제≫의 ‘토막번지(土莫飜地)’는 이것을 이르는 말이다.

그러나 여러 형태의 끌개 중에 우리의 눈을 끄는 것은 호남지방 지리산 주변의 산간지대에서 사용되는 것이다. 그 일대의 끌개는 서너 그루의 소나무를 뗏목처럼 나란히 묶은 것으로, 가지는 아래쪽으로 향한 것(길이 20∼30㎝)만 남기고, 나머지는 모두 쳐내어 평상써레처럼 되었으며, 위에 돌을 실어 끌어서 흙을 잘게 써는 효과를 거둔다.

아마 오늘날의 써레나 평상써레는 여기에서 나왔을 것이다. 보리씨를 뿌린 뒤에 새가 쪼아먹지 않도록 흙을 덮거나 어린 송아지에게 일을 가르칠 때에도 이용한다.

참고문헌

『한국의 농기구』(김광언, 문화재관리국, 1969)
『한국농기구고』(김광언, 한국농촌경제연구원, 1986)
관련 미디어 (1)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