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락뒤주

목차
관련 정보
김제 장화리 쌀뒤주 정측면
김제 장화리 쌀뒤주 정측면
주생활
물품
벼를 담는 수장구(收藏具).
이칭
이칭
나락두지, 두대통, 볏두지, 둑집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벼를 담는 수장구(收藏具).
내용

지역에 따라 나락두지(경상남도 영산), 두대통 · 볏두지(전라남도 보성), 둑집(전북특별자치도 진안)이라고 부른다. 이에는 다음과 같은 네 종류가 있다.

① 짚으로 엮은 날개를 둥글게 둘러세우고 위에는 비가 스미지 않도록 주저리를 씌운다. 이것을 마당 한 귀퉁이에 세우고 나락을 갈무리하는데, 겨우내 조금씩 꺼내므로 봄이 되면 자연히 철거하게 된다.

곳간과 같은 수장공간이 부족한 집에서 세우는 임시 뒤주인 것이다. 근래에 와서는 쥐의 피해를 막기 위하여 함석판으로 만들기도 한다.

② 나락을 갈무리하기 위하여 한 칸 내지 서너 칸의 독립건물을 짓기도 한다. 네 벽은 널벽으로 처리하고 지붕에는 짚이나 기와를 덮는다. 바닥에도 널을 깔며 지면과는 30∼50㎝의 간격을 둔다.

어느 한 면의 설주에 홈을 파고 여러 개의 쪽널을 차곡차곡 끼워넣어 문으로 삼는다. 농사가 많지 않은 집에서는 부엌 모퉁이에 지어 사용하는 일이 많다. 이러한 ‘둑집’은 호남지방에서 흔히 볼 수 있다.

③ 대로 항아리처럼 배가 부르고 아래쪽이 홀쭉하게 짠 것이다. 위에는 짚으로 엮은, 송낙 모양의 모자를 씌운다. 바닥 네 귀에는 주추를 놓고 널을 깐 다음 쥐의 침입을 막기 위하여 철사로 뜬 그물을 깔아둔다.

전면의 상부에 작은 널문을 달아 나락을 넣으며 꺼낼 때에는 아래쪽의 작은 구멍을 이용한다. 안쪽에는 진흙으로 초벌 바른 위에, 모래 · 토사 · 밀풀 따위를 잘 섞은 것을 덧발라서 틈새를 메운다.

크기는 일정하지 않으나 스물 네 가마의 나락이 들어가는 대형도 있다. 이것은 경상남도 진주시 일대에서 많이 볼 수 있다.

④ 바닥에 전이 달린 큰 방석을 깔고 이에 맞추어 짚으로 멍석처럼 짠 발을 두르고 나락을 담아두는 것이다. 나락이 많을 때에는 발을 덧대어 늘일 수 있으므로 편리하다. 이러한 나락뒤주는 전북 지방에서 많이 쓴다.

관련 미디어 (2)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