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래

목차
관련 정보
나래
나래
산업
물품
논밭을 판판하게 고르거나 곡식 등을 한 곳에 모으는 데 쓰는 연장.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논밭을 판판하게 고르거나 곡식 등을 한 곳에 모으는 데 쓰는 연장.
내용

널쪽이나 잔 나뭇가지를 촘촘하게 잇대어 만들었다. 「농가월령가」에는 ‘나ᄅᆡ〔耢〕’로 표기되었다. 지역에 따라 ‘삽나래(경기도 안산시 반월)’ · ‘나루판(전라남도 영광)’이라고도 부른다.

형태는 써레와 비슷하나 나루채가 달리지 않은 점이 다르다. 한 장의 널판이나 서너 개의 쪽널을 잇대어 몸체를 만들며 잔 나뭇가지를 발처럼 촘촘히 엮어서 대신하기도 한다. 또, 곳에 따라서는 번지처럼 필요할 때마다 써레의 이 부분에 좁은 널판이나 철판을 대어 쓴다. 널빤지 양쪽에 봇줄을 매어 소가 끌도록 되어있다.

나래는 바닥을 고르기 위하여 높은 곳의 흙을 낮은 데로 끌어내릴 때(이를 ‘바닥걸기질’이라 한다.)나 논이나 밭을 판판하게 고를 때, 논밭에 물이 나서 흘러 들어간 토사를 처리하는 데에도 쓰이고, 논이나 밭을 개간할 때에도 이용된다.

이 밖에도 새로 지을 집터를 닦는 데, 보를 막거나 수리할 때, 구렁을 메우는 데, 떨어놓은 곡식을 한곳으로 모을 때, 또 육염(소금)을 굽는 염밭에서 많이 사용된다. 나래 한 틀은 10여명의 사람품과 맞먹는다. 수명은 10여 년이고 무게는 5∼7㎏이다.

전북특별자치도 장수에서는 몸체 아래에 말굽쇠 모양의 쇠날을 나란히 박은 것을, 충청남도 당진에서는 몸체가 잘 미끄러지도록 하기 위하여 반월 모양의 다리를 붙인 것을 쓴다. 경기도 화성에서는 손잡이를 따로 붙이는 대신 몸체 가운데에 새끼줄로 고리를 매달고 이것으로 몸체를 들거나 내려서 일을 할 때 높낮이를 조정한다.

전북특별자치도 완주군 봉동에서는 밀려 올라오는 흙이 뒤로 넘어가지 않고 앞으로 떨어지도록 하기 위하여 뒤판에 기둥을 덧대어 불도저의 날처럼 널판의 앞을 조금 숙여놓았다.

참고문헌

『한국농기구고』(김광언, 한국농촌경제연구원, 1986)
관련 미디어 (3)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