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그림자점 (나무그림자)

목차
민속·인류
개념
정월 대보름 저녁에 나무를 세워놓고 그 그림자를 보아 농사의 풍흉을 알아보는 농점. 목영점.
이칭
이칭
목영점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정월 대보름 저녁에 나무를 세워놓고 그 그림자를 보아 농사의 풍흉을 알아보는 농점. 목영점.
내용

한자어로는 ‘목영점(木影占)’이라고 한다. 『동국세시기』 상원조(上元條)에 의하면, 한자 길이의 나무를 뜰 가운데 세워놓고 자정 때 달빛이 그 나무에 비치는 그림자의 길이로써 그해 곡식의 풍흉을 점친다. 그림자가 여덟치(寸)가 되면 바람과 비가 순조로워 대풍이 들고, 일곱치나 여섯치가 되어도 좋고, 다섯치가 되면 좋지 않으며, 네치가 되면 수해와 해충이 성행하고, 세치면 곡식이 여물지 않는다고 하였다.

또한 중국의 『화력신재(花曆新栽)』에도 대보름날 밤 한길이나 되는 장대를 세워놓고 그 그림자를 재어 점을 친다는 기록이 있는 것을 보면, 우리나라의 그림자점이 여기에서 유래한 것이라고 추측할 수 있다. 이로 보아 이 점법은 오랜 옛날부터 전해오는 것임을 알 수 있다.

참고문헌

『동국세시기(東國歲時記)』
『한국(韓國)의 세시풍속(歲時風俗)』(최상수, 고려서적, 1960)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