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로 죽방울받기·솟대타기 등의 곡예와 탈놀이를 하였다. 삼남(三南)지방 물자의 집산지였던 초계 밤마을 장터에 장이 열리면 전국 각지에서 여러 가지 흥행단이 흘러들어왔다.
그 가운데 이 초계를 근거지로 한 일단이 형성되어 탈놀음·곡예 등으로써, 특히 그곳에서 가까운 지방에 많은 영향을 주었다. 최근까지 영남지방에 전승되어 오던 야류 가면극과 오광대 가면극의 원류는 초계 대광대[竹廣大]가 놀았던 탈놀음에서 비롯되었다.
특히 오광대 탈놀음이라고 불리게 된 것은 이 대광대 탈놀음의 첫 과장이 다섯 광대로 시작되기 때문이다. 이 대광대 일단은 초계 외에도 가까운 신반(新反)·진주(晉州)·마산(馬山)·수영(水營) 등지에서도 공연하였다. 그러나 지금으로부터 60여 년 전 이미 없어졌으므로 오늘날은 볼 수 없게 되었다.
소년시절에 이것을 여러 차례 구경하였다는 노인들(초계 金台錫, 마산 金珣壹, 동래 尹在昊)의 말에 의하면, 이 놀음을 공연하기 며칠 전에 초계 대광대 일단이 신주(神主)같이 모시는 ‘울산서낭당각시’라는 인형을 대광대의 한 사람이 오른손에 안고, 공연할 마을로 들어와서 집집마다 다니며 문 앞에서 “초계 대광대 들어왔소.”하면 대개 그 집에서는 “서낭당각시 들어오면 재수가 있다.”하여 엽전을 몇 푼씩 주는데 돈이 제법 많았다고 한다.
정한 날, 정한 장소에 대광대 일단이 가면과 소도구를 넣은 궤짝을 짊어지고 긴 장대는 손에 들고 와서는 놀이를 하는데, 저녁에 장작불을 피워 놓으면 먼저 악공이 고깔을 쓰고 악기를 쳐울리면서 놀이마당(무대)을 몇 바퀴 돌고는 일반 관중들을 자리에 안정시켜 놓는다.
그런 뒤 맨먼저 무동(舞童)들이 나와서 어깨 위 다섯 동까지 하여 놀고는 들어가고, 다음은 광대 한 사람이 나와서 죽방울받기를 하다가 들어가면, 그 다음은 긴 장대(대 위에는 십자형으로 되어 있다.)를 세우고 그 장대 밑에는 몇 사람이 붙어서서 넘어지지 않게 붙잡는다.
그러면 재주를 하는 광대 한 사람이 나와서 그 높은 장대를 타고 올라가 십자형 꼭대기에서 몸을 날려 넘기도 하고, 매달리기도 하는 등 여러 가지 재주를 20분 쯤 하다가 내려오면 그 다음에는 탈놀음을 연출한다. 먼저 오방신장(五方神將) 탈을 쓴 다섯 광대가 나와 춤추고 들어가면 중이 나와 춤춘다.
또 다섯 광대가 나와 ‘양반·말뚝이 과장’을 하고 들어간 다음 ‘영노과장’, ‘할미·영감과장’, ‘사자춤과장’을 하고 마친다. 놀이의 종목·순서·내용을 보면, 최근까지 영남에서 연희되던 야류나 오광대가면극과 같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