줄글체 기사형식(記寫形式)에 순한문투의 표기이다. 형식은 모두 4·4조이며, 2음보 1구로 계산하여 전체 152구이다. 그의 문집 『몽한영고(夢漢零稿)』에 전한다.
작자는 양녕대군(讓寧大君)의 증손이다. 작자가 1523년(중종 18)을 전후하여 유배지에서 풀려난 뒤에 귀경(歸京)을 단념하고, 전라도 담양 대곡(大谷)에 은거하면서 지은 노래이다.
내용은 만세무궁한 태평성대를 축원하면서, 담주(潭州 : 지금의 전라남도 潭陽)의 경치와 미풍양속을 찬양하고, 거기에 초가삼간을 짓고, 중장통(仲長統)의 ‘낙지론(樂志論)’을 벗삼아 선현의 도를 본받고, 안빈낙도하면서 살아가겠다는 것으로 되어 있다.
전고(典故)의 과다한 인용과 추상적인 표현 등이 고루한 감을 주지만, 왕손이 지은 유배가사라는 점에서 이색적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