봉황곡 ()

고전시가
작품
작자 · 연대 미상의 가사.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정의
작자 · 연대 미상의 가사.
구성 및 형식

조선 후기에 창작되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4음보 1구로 계산하여 전체 28구. 『정선조선가곡』·『교주가곡집』 등에 수록되어 있다. 형식은 4·4조가 주축이지만, 3·4조도 등장한다.

내용

내용은 부부간의 금실을 노래한 것으로 3단으로 구성되어 있다. 제1단은 화촉언약(華燭言約)을 노래한 것으로, 중국의 수나라 명기 홍불(紅拂)이 이정(李靖)을 따랐고, 한나라 여자 탁문군(卓文君)이 사마상여(司馬相如)를 따랐듯이, 서로는 기필 상종하기를 맹세한다.

제2단은 월용다정(月容多情)을 노래한 것으로, 꽃을 찾는 나비처럼, 벗을 찾는 꾀꼬리처럼 다정다감한 여심을 노래하였는데, 그 자색은 월용성모(月容星眸 : 달처럼 예쁘게 생긴 얼굴과 별처럼 빛나는 눈)와 같고, 그 요태(妖態)는 후한(後漢) 미녀 진궁(秦宮)과 같다고 노래한다.

제3단은 원앙금실을 노래한 것으로, 요조숙녀는 군자호구(君子好逑)라 하였으니, 「봉구황곡(鳳求凰曲)」을 뜯으며, 원앙금실을 즐기겠다고 노래한다.

의의와 평가

「봉황곡」이라는 명칭은 작품 속에 나오는 「봉구황곡」에서 그 명칭을 취하였을 뿐이며 이 곡과의 관계는 없다. 추상적인 관념어의 나열과 전고(典故)의 남발 등으로 진부하며 주제도 선명하지 못하다.

참고문헌

『주해가사문학전집(註解歌辭文學全集)』(김성배·박노춘·이상보·정익섭 편, 정연사, 1961)
『교주가곡집(校註歌曲集)』(전간공작 편, 正陽社, 1951)
『정선조선가곡(精選朝鮮歌曲)』(지상욱 편, 1914)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