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관련 정보
반달낫
반달낫
산업
물품
풀 · 나무 · 곡식의 대 등을 베는 데 쓰는 연장.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풀 · 나무 · 곡식의 대 등을 베는 데 쓰는 연장.
내용

생김새는 ㄱ자 모양으로 되었으며, 안쪽은 갈아서 날을 삼고 슴베(자루) 속에 박히는 부분 끝을 나무 자루에 박았다. 지역에 따라 날의 길이나 너비, 그리고 날과 자루와의 각도 등에 차이가 있다.

경기 및 영남 지방에서는 날이 거의 직각을 이루며, 날의 너비가 길이에 비하여 좁은 것을 많이 쓴다. 그러나 강원·충청·호남 지방의 것은 날이 반달모양으로 굽었다. 특히 경상남도의 낫은 경기지방의 것에 비해 슴베가 긴 편이며, 강원도 산간에서는 날의 너비가 넓고 낫등도 두꺼우며, 슴베라고 할 만한 부분이 없을 정도로 거의 날 끝까지 자루에 박은 것을 쓴다.

일반적으로 슴베가 비교적 길고 날이 두꺼워서, 나무를 하는 데 편리한 것을 우멍낫(조선낫이라고도 하며, 강원도에서는 목낫이라고 부름)이라고 하는데, 이것은 대장간에서 육철을 쳐서 만든다.

한편, 날이 얇고 슴베가 짧은 강철로 만든 낫을 평낫(왜낫이라고도 하며, 강원도에서는 까끄랑낫이라고 함)이라고 부른다. 이 낫은 일제강점기에 들어온 것으로 날 끝이 날카로워서 곡식을 베는 데 좋다.

낫의 종류는 모양이나 쓰임에 따라 다음과 같이 분류된다.

① 담배낫:담배의 귀를 따는 데 쓰는 작은 낫이다. ② 밀낫:풀이나 갈대 등을 밀어서 깎는 낫으로, 형태는 보통 낫과 같으나 등이 날이 되고 자루가 긴 편이다. ③ 버들낫:보통 것보다 날이 짧으며, 예전에 고리를 만들 때 썼다. ④ 벌낫:벌판의 무성한 갈대 따위를 휘둘러서 베는 낫으로, 모양은 보통 낫을 닮았으나 날이 크고 자루가 길어서 두 손으로 쥐어야 한다. 제주도에서 많이 쓰인다. ⑤ 접낫:작은 낫으로, 날 끝이 물음표처럼 오그라들어서 옥낫이라고도 한다. ⑥ 뽕낫:자루는 보통 낫처럼 길지만 날 길이는 짧아서 9, 10㎝ 정도이다. 보통 낫으로는 남자 한 사람이 하루에 300여 평의 벼를 벨 수 있다.

참고문헌

『한국의 농기구』(김광언, 문화재관리국, 1969)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