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시원 ()

목차
고려시대사
제도
고려시대 왕을 측근에서 시봉하거나 호종하는 내시들이 소속된 관청.
목차
정의
고려시대 왕을 측근에서 시봉하거나 호종하는 내시들이 소속된 관청.
내용

정확한 설치 시기는 알 수 없으나, 문종 때 내시의 인원이 20명 내외로 정해졌던 점으로 보아 그 이전에 이미 관부가 갖추어졌을 것으로 추정된다.

전청(傳請)이란 절차를 통해 대부시(大府寺)로부터 내선(內膳) 물품을 공급받는 한편, 각처에 내시원별고(內侍院別庫)라 불리는 창고를 구비하고 지방에서 상납되는 특산물을 비롯하여 거란 및 송상(宋商)으로부터 구입하는 각종의 포백(布帛)을 보관하기도 하였다.

참고문헌

『고려사(高麗史)』
『고려사절요(高麗史節要)』
「여대내시(麗代內侍)의 신분(身分)」(김창수, 『동국사학(東國史學)』 11, 1969)
「高麗初期の內侍·茶房と明宗朝以後の武臣政權との關係」(周藤吉之, 『高麗朝官僚制の硏究』, 1980)
집필자
김재명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