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긍 ()

조선시대사
인물
조선 후기 『한원문집』을 저술한 문인.
이칭
여림(如林)
한원(漢源), 금석(今石)
인물/전통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1737년(영조 13)
사망 연도
1790년(정조 14)
본관
교하(交河)
출생지
충청북도 청주
주요 저서
한원문집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내용 요약

노긍은 조선 후기 『한원문집』을 저술한 문인으로 과시(科詩)에 뛰어났으며, 독특한 개성을 가진 시인이자 소품가(小品家)로도 당대에 명성이 높았다. 과거시험을 보지 않고 홍낙임의 집에서 그의 자제들을 가르치며 세월을 보냈다.

정의
조선 후기 『한원문집』을 저술한 문인.
가계 및 인적 사항

청주 출신으로, 본관은 교하(交河), 자는 여림(如林), 호는 한원(漢源) · 금석(今石)이다. 고조할아버지는 진사 노서(盧序), 증조할아버지는 노치당(盧致唐), 할아버지는 통덕랑 노성규(盧聖圭)이다. 아버지는 성균진사 노명흠(盧命欽)이며, 『동패낙송(東稗洛誦)』을 지었다. 어머니 광주이씨는 한산부원군 이손(李蓀)의 딸이다.

주요 활동

어려서 할아버지에게 공부를 배우다가 15세에 아버지를 따라 서울로 올라왔다. 이용휴(李用休) · 박지원(朴趾源) · 이봉환(李鳳煥) 그리고 홍봉한(洪鳳漢) 집안의 많은 자제들과 교유하면서 최신의 문학사조를 흡수하며 성장하였다.

1765년(영조 35) 진사시에 입격하면서부터 과시로 명성을 떨치게 되었지만, 이후 과거시험을 보지 않고 홍봉한의 셋째 아들 홍낙임(洪樂任) 집에서 그의 자제들을 가르치며 세월을 보냈다. 1777년(정조 1) 과장(科場)에서 글을 팔았다는 죄목으로 사풍(士風)을 어지럽히는 인물로 지목되어 위원군(渭原郡)에 유배되었다가 5년 뒤 풀려났다.

학문과 저술

저술로 『 한원문집(漢源文集)』이 전해지는데, 6대손 노재영이 1976년에 노긍의 저술을 수습해 간행한 것이다. 노긍은 스스로 “내 시율(詩律)과 산문에는 세속을 놀라게 하는 것이 많고, 진부한 면이 있는 것은 남에게 보여주고 싶지 않았다”라고 언급했을 만큼 당대 문단에서 독특한 개성의 시와 소품(小品)으로 명성이 있었다.

이가환(李家煥)과 정범조(丁範祖)는 노긍에 와서야 비로소 문학의 세계를 여는 길이 열렸다고 평가하였고, 정약용은 그가 기교한 표현을 잘한다고 인정하였다. 과문(科文)에도 뛰어나 당시 사류들의 추앙을 받았다.

참고문헌

원전

『정조실록(正祖實錄)』
『한원문집(漢源文集)』

논문

김경, 「노긍산문서술기법에서의 기(奇)」(『한국한문학연구』 55, 한국한문학회, 2014)
류기일, 「한원 노긍 산문 연구」(고려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013)
김용남, 「한원 노긍과 그의 소품문 일고」(『개신어문연구』 25, 개신어문학회, 2007)
김지영, 「한원 노긍 한시 연구」(한국학중앙연구원 석사 논문, 2007)
안대회, 「노긍盧兢) 소품문고(小品文攷)」(『한문학보』 6, 우리한문학회, 2002)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